*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방법연구 / 22권 / 1호
ㆍ저자명 : 강인애, 설진성
ㆍ저자명 : 강인애, 설진성
목차
Ⅰ. 서 론Ⅱ. 이론적 배경
Ⅲ. 가상 박물관의 전시물을 활용한 수업 개발 및 적용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의 하나로서, 가상박물관을 활용한 학교수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한 분야로서의 박물관, 특히 가상박물관의 교육적 가치를 분석해보고 이를 실제 학교수업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 적용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다양한 측면의 통합적 접근을 실현하기 위해 세 가지 수업 설계 원칙을 제안하고 ‘활동 중심의 통합교과 형태’로 수업을 개발하였다. 적용된 수업 설계 원칙은 첫째, 전시물이 지닌 사회문화적 맥락성을 활용하고, 둘째, 학습자가 수업전반에 주도적 역할을 하면서 탐구활동을 전개하도록 하며, 셋째, 통합교과적인 수업의 결과를 표현 중심적 결과물로서 완성하는 것이다. 본 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 대상으로 3개월간 적용되었으며, 이후 그 결과에 대한 질적인 분석을 통하여 본 수업모형이 가상박물관과 학교교육을 연계한 하나의 학습모형으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해 보았다.영어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concrete practice for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case study of school and virtual museum partnership. As 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characterized by its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based upon constructivist approaches, so virtual museum which is regarded as a practical field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due to its socioculturally contextualized & digitalized objects, is also able to highlight its educational values and functions through the partnership with school class.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d three basic principles for developing a class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school, i.e., to employ, 1st, social-cultural contextuality of objects in the virtual museum, 2nd, the constructive environments for the learner, and 3rd, interdisciplinary, cross-curriculum approach. After developing implementing the museum objects-based interdisciplinary class to the 6th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for three months, the results analyze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revealed positive and insightful meanings of the new approach of 'virtual museum collaborated with school learning' as alternative or supplementary to the tradition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s.참고 자료
없음태그
"교육방법연구"의 다른 논문
- 중등 교사가 인식한 현재 교실의 문제점과 미래 교실에 대한 기대에 관한 연구26페이지
- 경제적 가치 추정을 통한 전문상담교사제도의 성과분석21페이지
- 대학 전공 공부에 필요한 계열별 고교 선수교과목 분석22페이지
-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말과 행동27페이지
- 초등 사회교과에서의 목차 훑어보기 훈련이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19페이지
- 아이오와대 초등교사 양성 과정의 특징과 질 관리 방법25페이지
- 사이버대학과 일반대학의 이러닝 상호작용 비교 연구22페이지
- 성차에 따른 교사의 ICT 활용 유형 연구25페이지
- 학습자의 수업 참여 측정도구 개발25페이지
- 이명박 정부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전수 시행에 관한 정책 상황 분석 - A-VICTORY 모형..2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