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여 중학생의 사회적지지 지각, 컴퓨터게임중독, 학업성적 간 관계모형 비교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7.02.01
- 최종 저작일
- 2005.01
- 14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4,3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방법연구 / 17권 / 2호
ㆍ저자명 : 윤미선, 이영옥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컴퓨터게임중독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함에 있어서 지각된 사회적지지, 컴퓨터게임중독, 학업성적 변인들을 연구 모형으로 설정하고 각변인들의 관련성 및 영향력을 바탕으로 학업성적에 대한 직?간접 효과를 남?여학생별로 분석하였다. 전라북도에 소재한 5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760명을 대상으로 Young(1998)의 ‘컴퓨터 게임중독 검사’ 및 Dubow와 Ulman(1998)의 척도와 Harter(1985)의 척도를 종합한 ‘사회적지지 검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73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남?여 학생 간 사회적지지 지각과 컴퓨터게임중독 측정치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과, 상관분석 및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컴퓨터게임중독 정도가 높았으며 사회적지지 중 친구변인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간 상관분석 결과, 컴퓨터게임중독은 학업성적이나 사회적지지 지각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반면, 사회적지지 지각과 학업성적은 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변인간 직?간접 효과를 바탕으로 한 모델비교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세 변인의 관계 모형은 남학생 집단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였다. 특히, 학업성적에 대한 컴퓨터게임중독의 직접효과는 남학생에게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대해 남?여학생의 지각된 사회적지지, 컴퓨터게임중독, 학업성적으로 구성된 경로 모형을 비교하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어 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computer game addic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 total of 735 adolescents(49.9% boys, 50.1% girls) of seventh, eights, and ninth graders in five schools from Jeolra school district. Results showed that boys' addicted degree to the computer game was higher than girls' and girls' score for just friend-related support of the three sub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higher than boys'. For the correlation analysis, addicted degree to the computer gam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support but social support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cademic achievement. We checked that he structural model for boys' of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achievement, computer game addic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better than the model for girls'. Especially for girls' model, addicted degree to the computer game variable had not any direct effect for academic achievement.
참고 자료
없음
"교육방법연구"의 다른 논문
더보기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