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학습방법이 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33권 / 3호
ㆍ저자명 : 김이경, 김경현, 민수빈
ㆍ저자명 : 김이경, 김경현, 민수빈
목차
Ⅰ. 서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 참 고 문 헌 ▣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학습방법이 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에서 분석함으로써 교사들이 적용하는 창의적 교수학습방법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목적
으로 수행되었다. 교사의 창의적 교수학습방법과 학생의 창의성을 핵심 변인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수준,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영향관계 등을 「서울교육종단연구」의 제6차년도 중학
교 데이터 중 교사와 학생 각각 818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차이분석, 위계적 회
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다양한 수업보조자료를 활용하고 학생
들이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자유로운 수업분위기를 조성하는 등 창의적 교수학습방법을 교
사 개인의 배경이나 학교 특성에 관계없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학생의 창의성은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나 학생 개인의 문화자본이나 가정
배경,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생의 창의성에는 부모의 월평균 가계소득과
같은 개인 배경이나 학교 규모와 같은 학교 특성이 더 큰 영향을 미쳤지만 교사들이 창의적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할 경우 창의성 증대에 일조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
여 교사의 수업지도 방식 변화를 통해서 모든 학생의 창의성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는 가능
성을 확인하고 교사의 전문적 역량 제고를 위한 교사연수 및 행·재정적 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한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영어 초록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effects of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nstudents’ creativity.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levels of the two variables, differences
of perception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effects of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long with student characteristics and school characteristics on
students’ creativity. Utilizing the survey data of 1,636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across Seoul of South Korea extracted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
S)」 administered by the Seoul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performed. The
data analysis shows that most teachers apply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their
teaching activities in a higher level regardless of their personal backgrounds or schoo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level of students creativity differs depending upon personal
backgrounds as well as school characteristics such as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class
size, although the average level of creativity is considerably high. Finally,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pplication of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tudents’ creativity.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eachers in improving the
students’ creativity, and draw a few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teacher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참고 자료
없음"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와 교사에 대한 학생 인식이 중·고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28페이지
- 예비교사의 기초역량 강화를 위한 내러티브 기반의 교직과목 교육 탐구27페이지
- 유아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30페이지
- 학교 내 수업연구모임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26페이지
- 자기성찰을 위한 교사 공동체 안에서의 자서전 쓰기 과정에 따른 교사들의 경험30페이지
- 초등학교 교감의 의사소통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24페이지
- 예비특수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진단평가 수업에서의 어휘-선택 CBM 활용 가능성 탐색22페이지
- 교사 의복에 대한 고정관념 연구 : 한국 영화 및 드라마를 중심으로29페이지
- 유아교사를 위한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놀이에 대한 의미 고찰23페이지
- 교사 평가와 교사 전문적 자본의 관계 분석 :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2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