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에코뮤지엄 조성 가능성 연구 - 전북 신태인읍 ‘화호리(禾湖里)’ 사례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ㆍ수록지정보 : 박물관학보 / 30권
ㆍ저자명 : 조성실
ㆍ저자명 : 조성실
목차
Ⅰ. 서 론Ⅱ. 화호리의 유․무형 근대문화유산
Ⅲ. 근대문화유산 기반의 화호 에코뮤지엄 조성 가능성 분석
Ⅳ. 역사적 특수성을 살린 화호리 에코뮤지엄의 실현 : 도전과 과제
Ⅴ. 결 론
한국어 초록
전라북도 정읍시 신태인읍에 위치한 화호리 마을은 식민지 농촌수탈의 역사를 한눈에 보여주는당대 건축물들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곳이다. 여느 농촌마을처럼 이 지역도 인구감소, 노년층의 증
가로 인해 마을공동체 붕괴에 직면한 여러 문제를 떠안고 있다. 화호리는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김
제, 부안, 정읍 일대의 주요 교통 및 상업지역으로 사람들의 왕래가 잦고 인구가 많은 지역이었다.
또한 이곳에는 구마모토를 비롯한 일본인 지주들의 진출로 인해 식민지 시기 일본거류민촌이 형성
되어 근대건축물과 교육제도, 근대의료 및 상업시설 등이 들어섰다. 현재 마을주민들은 일제강점기
의 유산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한편 식민지 근대유산을 보존하여 교육의 장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인식을 동시에 갖고 있다. 연구자는 식민지 시기의 유산이 군집 형태로 남아있는 화호리 마을을 에코뮤지엄의 개념으로 바라보았다. 이에 오하라 가즈오키가 에코뮤지엄의 중요한 특징으
로 제안한 ‘유산의 보존’과 ‘주민의 주체적 참여’, ‘박물관 활동’ 이 세 가지 요소를 점검해봄으로써
농촌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화호리 에코뮤지엄 조성 가능성에 대해 탐구해보았다. 나아가 화호리
에코뮤지엄 조성을 위한 과제와 한계 등도 짚어보고자 했다.
화호리는 일제강점기의 건축물이 원래의 상태로 잘 보존되어 있고, 마을의 원로들은 당시의 역
사와 이야기를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그들의 후손과 지자체, 학계는 화호리의 역사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마을 공동체 회복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아직까지 국내에
식민지 시기 수탈의 역사를 콘텐츠로 하는 농촌지역 에코뮤지엄은 전무하다. 이러한 점에서 화호리
마을은 주민공동체와 함께하는 ‘진정성 있는’ 에코뮤지엄으로 조성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Hwaho eco-museum planningusing rural modern cultural heritages. Hwaho village located in Jeong-eup, Jeollabukdo
where it shows aspects of Japanese Colonial Period in rural areas. There are houses, a
clinic, farms, roads, schools and some shops in which Japanese had built in Hwaho area.
These are the most visible sign of Japan's colonial occupation of Korean farming area
uniquely. Like another farming areas, this village’s population is in decline and village is
getting short-handed these days. So it occurs to collapse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has
difficulty to pass down a cultural heritages‒folktales, Dangsan ritual, and memories of the
colonial exploitation that they have experienced. Some Hwaho villagers see a darker side
as Japanese Colonial legacy. In other regards, however, the legacies are considered to have
educational significance by most other villagers. This study tried to offer the application
and conservation method of the rural modern cultural heritages by the concept of
eco-museum in Hwaho. Therefore, this reviewed three elements-Heritage, Participation and
Museum-of eco-museum concept which are suggested by Kazuoki Ohara to explor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the Hwaho eco-museum planning using rural modern cultural
heritages. There are rich cultural heritages and people’s active participations. It also has
elements which need are required in museum activities. Finally, this study contends that
Hwaho has good possibility of authentic eco-museum planning.
참고 자료
없음"박물관학보"의 다른 논문
- 문화경관(Cultural landscape)의 오픈에어뮤지엄(Open air Museum) 활용방안..11페이지
- 버추얼뮤지엄과 디지털 문화경관12페이지
- 코냑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을 통한 전통식품 에코뮤지엄 조성 방안연구18페이지
- 창의적 경제 개념에서의 산업기술박물관의 설립 근거와 역할에 관한 연구: 산업사의 기억 보존과 기술혁..23페이지
- 관람객의 창조적 접근을 위한 박물관 내⋅외부 장소성 확장과 현재적 맥락화 - 전곡선사박물관의 사례를..21페이지
- 뮤지엄 환경제어와 헤리티지 보존과학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