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결정성동기 및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과흥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20권 / 4호
ㆍ저자명 : 박경숙, 오인수
ㆍ저자명 : 박경숙, 오인수
목차
I. 서 론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및 해석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중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결정성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러한영향력의 관계에서 영어교과에 대한 흥미가 매개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고, 수도권에
위치한 중학생 34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성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과흥미, 학습몰입 변인들 간의 직접적, 간접
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모형을 고안하고 구조방정식의 인과관계 및 상관관계를 검증하기위한 프로그램인 AMOS 22을 활용
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결정성 동기는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영어교과흥미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습몰입을 가장 많이 예측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 역시 직접적으로 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영어교과흥미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
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영어교과흥미가 단독으로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작았지만 자기결정성동기와 학업적 자기
효능감의 영향을 매개하면서 영향의 정도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의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와 학
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교과에 대한 흥미를 동시에 높이는 전략을 사용할 때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 방법을 교과 흥미의 관점에서 논의하고 후
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n studentengage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glish subject Interes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340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urvey response was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AMOS 22.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ly,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had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student engagement
as well as significant indirect effect via English subject interest. Secondly, self-efficacy also had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student engagement as well as significant indirect effect via English subject interest. The degree of effect of self-efficacy on
student engagement was higher than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 degree of effect of interest in the English
subject only was low, but the effect increased as mediating with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his result
implies that increasing the interest in the English subject) as well as enhanci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ill be effective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engagement.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increasing student
engagement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study was also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