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초등국어교육 / 61권
ㆍ저자명 : 정경화, 권순희
ㆍ저자명 : 정경화, 권순희
목차
1. 서론2. 북한 이탈 초등학생의 국어교육
3. 평가 대상 및 평가 도구
4. 북한 이탈 초등학생의 국어 능력 평가 분석
5. 결론
한국어 초록
북한 이탈 초등학생의 국어 능력을 파악하고자 1, 2차 평가를 실시하고 이들에게 필요한 국어교육 방향을 도출하였다. 남한 초등학생 53명과 북한 이탈 초등학
생 57명이 참여한 1차 평가에서 북한 이탈 초등학생은 내용 영역에 따라 정답률의
차이가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남한의 학생에 비해 정답률이 저조하였다. 1차 평가
에서 정답률이 낮게 나타난 문항을 2차 평가에서 확인한 결과, 1차 평가에 비해
소폭 상승한 문항도 있으나 문항의 내용 특성에 따라 오히려 정답률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학업 수행 공백, 남북한 교육과정 및 평가 문항 유형의 이질
성,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 과정의 복잡성 등의 이유로 문법 및 어휘 지식, 문학
해석 능력 및 비판적·추론적 사고 능력이 부족한 데 기인한 것이다. 또한 모어
화자임에도 불구하고 대화 상황의 언어 예절 및 규범에 대한 의사소통의 배경지식
과 정서가 부족하였다.
북한 이탈 초등학생의 국어 능력의 양적·질적 성장을 위해 다음과 같은 국어교
육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어휘 능력, 문법적 언어 지식, 비판적·창의적 사고 능
력, 화용적 언어 능력, 문학적 소양 함양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학습 전략을
통해 학습 능력뿐만 아니라 학습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무엇보다 학업 성취 향상을 위한 국어 지식
교육이 아닌 국어 사고력 및 언어문화 능력 신장에 목표를 둔 교육 방안이 마련되
어야 한다.
영어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ocus of Korean languageeducation provided to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wo rounds of language assessments
were conducted on the students.
A total of 53 South Korean elementary students and 57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participated in the first assessment. The North Korean elementary
students’ scores varied depending on the subject area; however, overall, their
scores were lower than those of South Korean students. When the items with
low scores in the first assessment were reevaluated in the second one, students
showed mild improvements on some items; however, the scores of some other
items were actually lower than those at of the first assessment. This is a
reflection of the North Korean students’ inadequate knowledge of grammar and
vocabulary, as well as inferior literary interpretation and critical and inferential
thinking skills, which result from various factors, including shortcomings in the
education provided to these students, differences in educational curricula and
evaluation item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educational systems, and the
differential development among students of the complex thinking processes
involved in problem-solving. Furthermore, despite the fact that they were Korean
natives, North Korean students lacked adequate knowledge of the language etiquettes and norms that are followed in different situations.
Therefore, we suggest the following educational measures to promot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skills among North
Korean defect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the education provided to
these students should aim at improving their vocabulary, grammatical knowledg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pragmatic language, and literary competence.
Second, various learning strategies should be applied to help the defector
students perform self-directed learning, which would improve their learning skills
and motivation to study. Third, educational goals should be focused on
improving Korean language thinking skills and language cultures instead of
merely concentrating on Korean language skills alone to promote academic
achievement.
참고 자료
없음"한국초등국어교육"의 다른 논문
-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제시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30페이지
-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초등문학교육 설계 양상 분석 - 아동문학작품 갈래 용어의 제시를 중심으로..29페이지
- 독서치료 수업을 위한 인물 분석 연구 - 이금이의 「너도 하늘말나리야」를 중심으로 -30페이지
- 「혹부리 영감」에 나타난 ‘혹 떼기와 혹 붙이기’의 서사 구조와 의미32페이지
- 서답형 문항 구조화를 위한 요소 체계화 연구31페이지
- 받침의 연음 방법 체계화와 교재 구성 방향 연구33페이지
- 초등 국어과 표현 영역에서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 -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중심으로 -28페이지
- 2015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양상과 교육과정 발전을 위한 논제32페이지
-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창의·융합 형 인재 양성과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연극의 활용 방..29페이지
- 교과서 수록 영상 콘텐츠의 선정 기준과 적절성 요건에 관한 연구2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