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국어과 표현 영역에서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 -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초등국어교육 / 61권
ㆍ저자명 : 김희동, 엄해영
ㆍ저자명 : 김희동, 엄해영
목차
1. 서론2. 국어과 표현 영역에서 ‘매체 활용’의 의미
3.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 탐색
4.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실천 가능성: 프레젠테이션을 중심으로
5.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국어과 표현 영역에서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 표현 영역에 나타난 매체 활용의
의미를 통시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여기에서 드러난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문제
점을 바탕으로 표현의 본질과 매체 환경의 변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지향을 논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체와 매체의 문제가 대두되
었으며 주체와 매체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얻기 위해 포스트휴머니즘과
체화주의 이론들을 살펴 매체 활용 교육의 지향을 논의하였다.
이어서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실천 가능성을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프레젠테이션의 개념, 교육적 가치, 특징을 살피고 말하기와 쓰기,
다양한 매체가 주체의 인지를 중심으로 융합된 표현 교육을 프레젠테이션 교육의
특성이자 지향점으로 파악하였다. 프레젠테이션 교육의 방향을 주체와 매체의 관
계를 중심으로 인지적 네트워크, 자아의 확장 측면에서 논의하고, 체화된 인지와
경험의 측면에서 프레젠테이션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추가로 프레젠테이션 수
행의 과정을 수행과 수행 전으로 나누고 실체화되는 요소를 중심으로 세분하여
제시하였다.
영어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direction of media usageeducation in the expression of Korean language. Diachronically reviewing the
meaning of media usage shown in the express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discussed the direction of media us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in two aspects such as essence of expression and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In this process, an issue like the main agent of expression was
rising. To get new implications of relations between main agent and media, the
direction of media usage education was discussed by examining theories such as
posthumanism and embodimentism theories.
Then, the possibility of practicing media us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was discussed focusing on presentation education. Examining the concept,
educational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presentation, the education of expression
mainly combined with main agent's cognition, speaking, writing, and diverse
media was understood as the characteristics/direction of presentation education.
The preparation and performance process of presentation were suggested based
on elements of embodimentism and substantialization.
참고 자료
없음"한국초등국어교육"의 다른 논문
-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제시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30페이지
-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초등문학교육 설계 양상 분석 - 아동문학작품 갈래 용어의 제시를 중심으로..29페이지
- 독서치료 수업을 위한 인물 분석 연구 - 이금이의 「너도 하늘말나리야」를 중심으로 -30페이지
- 북한 이탈 초등학생의 국어 능력 진단 평가 분석41페이지
- 「혹부리 영감」에 나타난 ‘혹 떼기와 혹 붙이기’의 서사 구조와 의미32페이지
- 서답형 문항 구조화를 위한 요소 체계화 연구31페이지
- 받침의 연음 방법 체계화와 교재 구성 방향 연구33페이지
- 2015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양상과 교육과정 발전을 위한 논제32페이지
-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창의·융합 형 인재 양성과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연극의 활용 방..29페이지
- 교과서 수록 영상 콘텐츠의 선정 기준과 적절성 요건에 관한 연구2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