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인 미술치료에서 심상체험의 의미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6.10
24P 미리보기
성인 미술치료에서 심상체험의 의미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치료연구 / 23권 / 5호
    · 저자명 : 김효정, 김봉환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심상으로 나를 표현하고 응시하기
    Ⅳ. 찾아진 나 - 충분한 미완성
    Ⅴ. 나와 그림
    Ⅵ. 논 의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로써 자기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 성인들의 심상체험 과정을 현상학을 이론
    적 기반으로 삼는 질적연구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전체 심상체험의 과정은 심
    상의 형상화와 형상화된 심상을 바라봄의 이야기로 나뉘었다. 연구 결과 심상체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았다. 첫
    째, ‘비유’로서 나처럼, 내 마음처럼 그림에 나타난 심상을 거리를 두고 바라보며 자기 마음과 느낌을 투영해가
    며 자기를 알아갔다. 둘째, ‘마음을 꺼냄’으로 눈으로 볼 수 없는 추상적인 마음의 감정과 느낌들을 색과 형태
    로서 눈으로 볼 수 있는 것들로 가시화가 되었다. 이로 인해 치료사와 소통이 더욱 원활하게 되었으며, 막연했
    던 내 마음이 구체화가 되고, 명료화가 되었다. 셋째, ‘낯섬’으로 그들의 그림은 그리려던 자신들의 의도와 달리
    그려졌다. 자신이 직접 그린 그림의 낯설음을 통해 의도와 그 결과 사이의 내용을 봄으로써 또한 자기를 알게
    되었다. 넷째, ‘동행’으로서 심상은 연구참여자들 각자의 일상의 경험과 나란히 갔다. 일상의 경험들이 심상 츌
    현의 진원지였고, 일상의 경험적 순간에 미술치료실에서의 그림이 떠올라 그 그림의 이야기가 바로 지금 여기
    서의 나의 이야기임을 알아차리게 해주었다. 이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심상체험의 구체적 과정들을 보여주고,
    이로 인해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ought to elucidate a more specifically the process of lived-experience in the art therapy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here the theoretical foundation is derived from phenomenology.
    First, participants regarded the image of a drawing as though it represented their own state of mind, and
    the images were drawn in accordance with participant's state of mind. “As though” was a metaphorical
    expression, and participants began to know themselves by projecting their feelings through drawings.
    Second, the abstract sentiments and feelings that could not be visualized as images become visible in
    colours and forms. It is through colours and forms that the qualitative dimension of the mind is transferred
    into its quantitative dimension, and the mind becomes visible. Owing to this, the ambiguity of the mind
    and thinking is made concrete and clear. Third, there was a discrepancy between the intended drawing and
    the actually painted. The patients became self-aware through the uncanniness caused by their own
    drawings, when they faced up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intentions and the results. Finally, images
    were parallel to the everyday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This research has shown the concrete process
    of the above mentioned image-experience in the art-therapy, and its pivotal meaning lies in the fact that it
    pursues to broaden the previous understanding of the art therap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