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임신부의 모성정체성과 태아애착에 미치는 효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ㆍ수록지정보 : 미술치료연구 / 23권 / 4호
ㆍ저자명 : 우인희, 전순영
ㆍ저자명 : 우인희, 전순영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태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임신부의 모성정체성과 태아애착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G시 임신 15주 이상의 임신부 18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을 무선으로 배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월까지 매주 1∼2회 80분씩 사전․사후검사
를 제외하고 총 14회기가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로는 모성정체성을 알아보기 위한 모성정체성 척도, 태아애착을
알아보기 위해 태아애착 척도, 사전․사후 검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신부의 모성정체성의 4개
하위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이에 반해, 통제집단은 모성정체성 척도 사전․사후
검사의 차이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임신부의 태아애착 척도의 5개의 하위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이에 반해, 통제집단은 태아애착 척도 사전․사후 검사의
차이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태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임
신부에게 있어 임신기에 겪는 감정과 경험을 시각화 시키고 태아와의 상호작용을 경험하며 모성정체성과 태아
애착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imed at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natal care group art therapy programs on maternalidentity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To this end, 18 pregnant woman were finally recruited from G city
in Gyeonggi-do, and randomly and evenly assigned into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for the test group was performed with a total of 14 sessions for 80 minutes once or twice in a week from
November 2014 January 2015. In addition to the preliminary and follow-up tests, maternal identity,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the Wilcoxon signed-ranks test were examined for all subjects in both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ur sub-factors of the performed to analyze the subjects'
maternal ident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or the test group.
However,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ly, five sub-factors of
the measuring maternal-fetal attachmen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is study
showed that prenatal care group art therapy programs could help pregnant women to visualize their
emotions and experiences during the pregnancy period and to develop interactions with their unborn
children; he study also positively affected maternal identity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참고 자료
없음"미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
- 그림책이 갖는 자기 치유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24페이지
- 공동화 참여자들의 협력적 상호작용 경험 연구: 6인조 협력적 그림검사(S-CDT)를 중심으로18페이지
- 해석학적 현상학의 학위논문에서 다뤄진 글쓰기를 기반으로 미술심리치료학 전공 졸업생들의 반영적 글쓰기..19페이지
- 배우자 사별 여성의 칠보만다라 중심 애도미술치료 경험 연구24페이지
-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19페이지
- 상호작용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기술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24페이지
-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문제행동, 사회적 기술 및 부모의 양육행동 개선을 위한 부모 참여 인지..26페이지
- 한부모가정 유아자녀의 문제행동 및 부모역할 개선을 위한 부모-자녀 미술치료 사례연구20페이지
-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아버지 양육참여가 어머니와 미술치료사의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18페이지
- SWOT분석을 활용한 한국미술치료의 발전 전략 연구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