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기반 노랫말 지어 부르기를 활용한 초등영어 수업의 효과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ㆍ수록지정보 : 교육논총 / 36권 / 3호
ㆍ저자명 : 남수영, 박선호
ㆍ저자명 : 남수영, 박선호
목차
Ⅰ. 서 론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및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들의 실생활 경험에 기반한 영어 노랫말 지어 부르기 모형을 통한 영어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4학년 한 개반 2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18주 동안 정규 영어 시간에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본 교수 모형을 통한 수업은 학습자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이는 네 가지 영어 교수 영역(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을 통
합함으로써 가능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학습자들의 실생활과 연관된 영어 가사쓰기는 그들
로 하여금 목표 언어를 보다 더 활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맥락을 제공하여 영어 표현에 대
한 장기간 기억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셋째, 수업에 활용된 모형은 또한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
(자신감, 흥미, 참여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는 수업 중 학습자 중심으로 진행된 활
동들과 강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교수 모형은 하위에 속한 영
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이었다. 자신들의 실생활을 바탕으로 한 주요 표현이 담겨있는 다양한 의
사소통 상황은 그들의 목표 언어 습득에 도움을 준 것이다. 또한 친숙한 멜로디의 노래는 학습자
들의 방어 기제 수준을 낮추어 영어 학습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초등영어 교육 및 연구와 관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과 제안을 제시하였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eaching English using a model of writing English lyrics andsinging based on students’ practical life experienc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and the affective domains.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fourth-grade
class of 25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the regular English classes for 18 week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model made positive influences on learners’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e. This was made possible as the lessons were designed to
integrate the four areas of language teach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Second,
writing lyrics related to learner’s actual lives provided them with useful contexts to use the target
language more actively, and it contributed to the long-term memories of English expressions. Third,
the model also made positive influences on learners’ affective domains(confidence, interest, and
participatory attitudes). This is presumed to have strong relationships with the learner-centered
class activities conducted in the class. Last, the teaching model was effective especially for the
lower level learners of English. Various communicative situations with key expressions based on
their real lives were helpful for them to acquire the target language. Also, the songs with familiar
melodies are thought to have lowered the learners’ level of defense mechanism.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further research and imple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