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기상학적 가뭄지수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습지학회지 / 18권 / 4호
ㆍ저자명 : 김덕환, 홍승진, 한대건, 최창현, 김형수
ㆍ저자명 : 김덕환, 홍승진, 한대건, 최창현, 김형수
목차
1. 서 론2.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기상학적 가뭄
3. 표준강수지수 및 대상유역
4. 한강유역 가뭄발생 변동성 분석
5. 결 론
References
한국어 초록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와 가뭄 발생빈도의 증가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다. 특히, 가뭄은 환경, 생태, 사회, 경제적인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재해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유역의 기상학적 가뭄지수를 산정하여 기후변화가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에서 제공하는 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s)를 사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기상학적 가뭄 발생 횟수 변화를 일반적인
가뭄과 극심한 가뭄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1973 – 2010년을 현재 분석기간으로 선정하였으며, 시나리오
자료를 사용하여 미래기간(Target Ⅰ : 2011 - 2039, Target Ⅱ: 2040 - 2069, Target Ⅲ : 2070 - 2099)을 구분하
였다. -1.0과 –1.5보다 작은 표준강수지수의 발생횟수를 SPI 3, 6, 12 별로 각각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한강유역의 강우의 경향성은 현재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고, 가뭄의 발생횟수는 미래로 갈수록 감소할 것으로 예
측되었다. 그러나 장기가뭄으로 갈수록 가뭄발생횟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극심한 가뭄보다는 보통 가뭄의
발생횟수 역시 더욱 크게 산정되었으며, 한강유역의 미래가뭄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 초록
The increased frequency of drought and flood due to climate change was a global problem. In particular, drought wasrecognized as a serious environmental, ecological, social, and economic disas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easures to prevent it. In this study, we will estimate the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in the Han River Basin and analyz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drought. The change of the meteorological drought occurrence due to climate change
in the Han River separated by the common drought and severe drought was analyzed using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s) scenarios provid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The years 1973 - 2010
were selected for analysis in the current period. Using the scenario, we separated the future period (TargetⅠ: 2011 - 2039,
TargetⅡ: 2040 - 2069, TargetⅢ : 2070 – 2099).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less than -1.0 and -1.5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were analyzed by SPI 3, 6, 12. Looking at the results, trends in rainfall in the Han River was expected
to increase from the current figures, the occurrence of drought is predicted to decline in the future. However, the number
of drought occurrence was analyzed to increase toward long-term drought. The number of severe drought occurrences
was usually larger than the common drought estimated. Additional studies may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the agricultural
drought, hydrological drought, socio-economic drought. This will be done by using efficient water management.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drought analysis of the Han River.
참고 자료
없음"한국습지학회지"의 다른 논문
- Oxygen Mass Balance Analysis in an Intermittently Aerat..11페이지
- Transpor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and stormwater ..7페이지
- 국립생태원 습지에서 진행 중인 자발적 복원9페이지
- Value Assessment for Inland Wetlands according to Ecolo..9페이지
- Lifecycle cost assessment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8페이지
- 자연상태 유황곡선 보전을 위한 생태저류지 용량결정방법8페이지
- 관측소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수위관측망 최적화 연구9페이지
- 남한강 강천보와 이포보 건설 전·후 조류 발생의 변화에 대한 연구10페이지
- 시설원예단지와 논습지의 육상곤충 다양성 비교분석8페이지
- HGM 적용을 통한 하도습지의 기능평가 제고 방안 연구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