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상태 유황곡선 보전을 위한 생태저류지 용량결정방법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습지학회지 / 18권 / 4호
ㆍ저자명 : 이옥정, 장수형, 김홍태, 김상단
ㆍ저자명 : 이옥정, 장수형, 김홍태, 김상단
목차
1. 서 론2. 연구방법
3. 결 과
4. 결 론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생태저류지와 같은 LID 시설은 강우유출수를 관리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LID 개념이 강우유출수 관리 계획의 중요한부분이 되면서, LID 시설의 수문학적 성능과 LID 시설이 배수분구의 수문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설계 전략으로서 유황곡선의 활용에 관한 사항을 다루고 있다. 많은 LID 시설들과 마찬가
지로 생태저류지는 자연 상태의 수문현상을 재현하고자 설치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황곡선 기준을 만족하는 생태저류
지의 크기를 결정하려는 시도가 수행된다. 연구 결과, 현재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용량기준인 “5mm * 처리대상구역의
면적”은 불투수율 20-30%인 지역에 유효함을 살펴볼 수 있다. LID 시설이 전형적으로 설치되는 100% 불투수 지역
의 경우 자연상태 유황곡선의 재현을 기준으로 보면 47mm 정도의 유출고를 차집할 수 있는 용량이 요구되며, 이는
처리대상구역 면적의 11% 정도가 생태저류지로 활용되어야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시설의 용량과 시설 면적의 기준은
현실적으로 구현 가능한 조건에서 설정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처리대상구역의 개별적인 수문학적 특성을 반영하여 결
정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 초록
LID facilities like bio-retention cells is applied to manage stormwater. LID concept becomes an important part instormwater management, and the clear understanding of hydrologic performance and hydrologic impact on the
corresponding catchment has been needed.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flow duration curves as design strategy is
investigated. Bio-retention cells like many LID facilities are installed to reproduce natural hydrologic processes. In this
study, the attempt to determine the size of a bio-retention cell is carried out to satisfy the flow duration criteria. From
the results, it is shown that “5 mm * the area of a target catchment” which is the current facility design capacity is
valid for the drainage area with 20-30% impervious rate. In the 100% impervious catchment where LID facilities are
typically installed, the design capacity to intercept stormwater of approximately 47 mm depth is required to reproduce
natural flow duration curves. This means that about 11% of the target catchment area should be allocated as a
bio-retention cell. However, the criteria of the design capacity and facility surface area should be set at the possible
implementation conditions in reality, and site-specific hydrologic characteristics of a target catchment should be
considered.
참고 자료
없음"한국습지학회지"의 다른 논문
- Oxygen Mass Balance Analysis in an Intermittently Aerat..11페이지
- Transpor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and stormwater ..7페이지
- 국립생태원 습지에서 진행 중인 자발적 복원9페이지
- Value Assessment for Inland Wetlands according to Ecolo..9페이지
- Lifecycle cost assessment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8페이지
-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기상학적 가뭄지수 분석16페이지
- 관측소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수위관측망 최적화 연구9페이지
- 남한강 강천보와 이포보 건설 전·후 조류 발생의 변화에 대한 연구10페이지
- 시설원예단지와 논습지의 육상곤충 다양성 비교분석8페이지
- HGM 적용을 통한 하도습지의 기능평가 제고 방안 연구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