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음악활동에서 관찰되는 유아의 사회성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타당화연구이다.
총 152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문항양호도 검증을 거쳐 개발된 문항을 검사양호도 검증을 위
한 평가도구 검사 타당도와 검사 신뢰도를 알아본 것이다. 검사타당도를 위해 구인타당도
검증과 준거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검사 신뢰도는 문항내적일치도로 검증하였다. 구
인타당도 검증은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평가도구의 동질성 검증으로
평가도구의 총점과 하위영역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준거타당도 검증의 하나로 공인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본 평가도구와 기존 표준화검사도구 간의 총점수과 하위영역별 점
수를 상관분석 하였다. 검사신뢰도 검증은 총점수와 하위영역별 점수의 내적 일치도를 분
석하였다. 결과, 구인타당도의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44문항이 도출되어 본 평가도구가 사회
성이라는 구인을 세 개의 하위영역별로 분리되어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평가도구의 동질성으로 총점과 하위영역 간 r = .865 이상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
타내고 있어 하위영역 간 사회성이라는 심리적 구인을 연관성 있게 평가 할 수 있는 타당
한 평가 도구임을 보여주고 있다. 공인타당도 검증으로 기존평가도구와 본 평가 도구의 총
점이 r = .866 이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므로 본 평가도구로 유아의 사회성을 표준화
된 평가도구와 유사하게 평가 할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검사의 신뢰도는 전체점수의
내적일치도 점수가 Cronbach = .976로 본 평가도구가 유아의 사회성을 일관성 있게 평
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검사양호도 검증을 통해 타인과의 상호작용
19문항, 자아개념 14문항, 자기규제 11문항으로 총 44문항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인 음악활
동에서 관찰될 수 있는 유아의 사회성 평가를 위한 평가도구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평가도구임이 확인되어 음악활동 안에서 유아의 사회성을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ating scale that would provide an
adequate assessment of infants' sociality observed during music activities. A total of 152
infa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tems for this rating scale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nalyz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from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44 items on the rating scale demonstrated significant reliability and included
19 items of social interaction, 14 items of self concept, and 11 items of self regulation.
Our data suggests that the rating scale used for music activities as an assessment of an
infant's sociality is a reliable rating system for the assessment of infant sociality in
general education c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