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LTE 환경에서 기지국 위치정보 기반 종단 간 단말 대역폭 재협상에 관한 연구

*지*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7.01.04
최종 저작일
2016.12
61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0,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제1장 서 론
제1.1절 연구배경 및 목적
제1.2절 연구내용 및 논문 구성

제2장 LTE 네트워크의 구성 및 단말 제어
제2.1절 LTE 네트워크와 단말 위치등록
제2.2절 LTE 네트워크의 정책․과금 제어

제3장 LTE 단말 위치정보를 활용한 QoS 적용
제3.1절 QoS와 트래픽 제어의 필요성
제3.2절 BARL-QoS 알고리즘을 적용한 대역폭 재협상

제4장 실험 및 결과 고찰
제4.1절 실험 환경 및 구성
제4.2절 실험 및 결과 고찰

제5장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본문내용

사용자의 서비스 수요가 복잡화․전문화․대량화 되었고, 특히 무선 데이터 트래픽 전체 사용량에서 스트리밍 동영상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가 차지하는 비중이 과반 이상을 차지하면서 이동통신망의 과부하 발생 및 품질 저하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이에 따른 시스템의 처리량 향상과 사용자 체감품질(QoE)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게 되었다[2].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통신 사업자는 WiFi나 Femto-cell과 같은 대체망(heterogeneous), 혹은 망(network)․구간(hop) 등 다양한 구간에서 여러가지 과부하 제어기술을 적용[2][3]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종단(end-to-end) 간 QoS 지원은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특히 최소한의 서비스 품질 보장이 필요한 음성통화(VoIP․VoLTE)나 영상통화(PSVT)는 일시적인 트래픽 급증이나 과부하 현상 발생 시 정상적인 서비스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LTE 무선 환경에 따른 최적화 기술이 필요하다[4].
통신 품질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는 데이터 처리량(throughput)이다.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적절한 대역폭 확보가 필수적인데, 자원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수용 범위 내에서 최대한 많은 사용자를 수용해야 한다.
그러나 수용량을 극대화시키면 부하가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른 네트워크 지연(delay)도 늘어나 품질 문제에서 상호충돌이 발생한다.
따라서 호 수락 여부(call admission control)를 적절히 판단해, 사용자 트래픽 대비 회선 효율성을 높여 처리량을 최적화 시키는 것이 자원 관리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종단 간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부하조절 및 대역폭 결정에 관해 주파수 소요량 산출 방법[5], 국제전기통신연합 ITU-T에서 표준화된 가변대역 멀티코덱 G.729.1 제어 기술[6], 여러 종류의 QoS를 보장해주는 부하 제어 알고리즘[7], 확률적 지연을 보장하기 위한 대역폭 제어 기법[8], 대역폭 조절을 위한 인코딩 방식[9], 대역폭 크기 조정(scaling) 기술[10], 위치관리 서비스를 이용한 대역폭 예약[11] 기술 등이 연구되었다.

참고 자료

미래창조과학부,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 http://www.msip.go.kr/,2016년 6월.
이은민,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증가와 사업자 전략", 정보통신정책연구원보고서, 제23권 14호 통권 513호, pp. 101-109, 2011년 8월.
전수연, 임동민, "모바일 트래픽 증가에 대한 이동통신사업자의 대응동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보고서, 제22권 17호 통권493호, pp. 31-50, 2010년 9월.
강유리, "인터넷 트래픽 관리와 DPI(Deep Packet Inspection)", 정보통신정책연구원보고서, 제25권 8호 통권553호, pp. 23-48, 2013년 5월.
김홍태, "3GPP UMTS 망에서의 코덱 기반 QoS 제어",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년 12월.
P. Siripongwutikorn, S. Banerjee, and D. Tipper, "A Survey of Adaptive Bandwidth Control Algorithms", IEEE Communications Surveys&Tutorials, vol. 5, no. 1, 2003, pp. 14-26.
G. Kesidis, "Bandwidth Adjustments Using Online Packet-level Measurements", Proceedings of the SPIE, vol. 3841, Aug. 1999, pp. 230-238.
E. Amir, S. McCanne, M. Vetterli, "A Layered DCT Coder for Internet Video",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Lausanne Switzerland, Sept. 1996.
N. Yeadon, F. Garcia, D. Hutchison, D. Shepherd, "Filters: QoS Support Mechanisms for Multi-peer Communications", IEEE Journal of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 vol. 14, no. 7, Sept. 1996, pp. 1245-1262.
[10] L. Delgrossi, C. Halstrick, D. Hehmann, R. G. Herrtwich, O. Krone, J. Sandvoss, C. Vogt, "Media Scaling for Audiovisual Communication with the Heidelberg Transport System", Proc. ACM Multimedia, Jan. 1993, pp. 99-104.
H. Riiser, P. Vigmostad, C. Griwodz, P. Halvorsen, "Bitrate and video quality planning for mobile streaming scenarios using a GPS-based bandwidth lookup service",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and Expo., July 2011, pp. 1-6.
D. Reininger, R. Izmailov, B. Rajagopalan, M. Ott, D. Raychaudhuri,"Soft QoS control in the WATMnet broadband wireless system",IEEE Personal Communications, vol. 6, no. 1, Feb. 1999, pp. 34-43.
3GPP TS 29.274 v11.13.0,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Core Network and Terminals; 3GPP Evolved Packet System (EPS);Evolve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Tunnelling Protocol for Control plane (GTPv2-C) (Release 11)", Jan. 2015.
넷매니아즈 기술문서, "LTE Identification Ⅰ- UE 및 ME 식별자",2011년 1월.
3GPP TS 23.203 v11.15.0, "Policy and charging control architecture(Release 11)", Dec. 2014.
3GPP TS 36.455 v13.1.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LTE Positioning Protocol A (LPPa) (Release13)", Mar. 2016.
전주성, "LTE 네트워크 기반 위치측위 고도화 기술", TTA Journal,통권 제150호, pp. 108-113, 2013년 12월.
여건민, 안지환, "LBS 기술 및 표준화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5권 제6호 통권126호, pp. 11-19, 2010년 12월.
Rohde&Schwarz White Paper, LTE Location Based Services Technology Introduction, Apr. 2013.
3GPP TS 29.213 v11.15.0,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Core Network and Terminals; Policy and Charging Control signalling flows and Quality of Service(QoS) parameter mapping (Release11)", Sept. 2016.
이재연, "LTE QoS 파라미터를 이용한 VoLTE 페이징 관리 기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년 12월.
윤병남, "인터넷 QoS 및 Billing 제공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연구개발보고서, 2002년 12월.
이준화, 정병호, 이광일, 김상하, "멀티미디어 무선망에서 서비스 제어를 통한 QoS 향상",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7권 제1호 (A), 2000년 4월, pp. 316-318.
R. Izmailov, D. Reininger, "Dynamic network bandwidth allocation for multimedia applications with soft quality-of-service requirements", European Patent 0 932 280 A2, July 28, 1999.
이희봉, "멀티미디어 무선네트워크에서의 호 수락 제어",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년 12월.
Q. Zhang, W. Zhu, Y. Zhang, "End-to-End QoS for Video Delivery Over Wireless Internet", Proceedings of the IEEE, vol. 93, Issue. 1,Jan. 2005, pp. 123-134
김미희, "고속 멀티미디어 무선 망에서 QoS Provisioning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년 12월.
김민재, 민상원, 박인수, 이성로, 김윤희, 김복기, "EPC 환경에서 QoS지원을 위한 Flow Mobility 적용 방안", 한국통신학회 종합 학술 발표회 논문집(하계), 2011년 6월, pp. 292-293.
안원영,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적응적 QoS 설계 및 전송 시스템 구현", 선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년 12월.
이원열, "무선 이동 통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자원 제어 시스템",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10권 제9호, pp. 1153-1164, 2007년 9월.
3GPP TS 36.413 v11.8.0, "LTE;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S1 Application Protocol (S1AP)(Release 11)", Sept. 2011.
손장우, "Mobile Video Optimization for Mobile Operators", 넷매니아즈 기술 문서, 2012년 2월.
이상훈, 이성진, 박종록, 이상훈, "무선네트워크에서의 비디오 열화분석",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2011, no. 2, 2011년, pp. 486-487.
*지*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해당 판매자는 노하우톡 기능을 사용하는 회원입니다.노하우톡
* 노하우톡 기능이란?노하우 자료를 판매하는 회원에게 노하우 컨설팅, 활용방법 등을 1:1 대화를 통해 문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LTE 환경에서 기지국 위치정보 기반 종단 간 단말 대역폭 재협상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