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무용기록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무용기록학회지 / 32권
ㆍ저자명 : 손선숙
ㆍ저자명 : 손선숙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향후 정재춤사위의 실연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의의를 두고『악학궤범』에 세주(細註)로 기록된 정재춤사위를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악학궤범』에 세주(細註)로 기록된 정재춤사위는 30종이다. 종류로는 광수․광수무․광수환장무․광 염․금전락무․금척무․농구무․도약무․무릎디피무․발바딧무․발바딧작대무․사수무․수보록무․지선무․수양수무․ 수양수무릎디피무․수양수오방무․오양선무․인무․입무․절화무․정읍무․첨염․칠무․퇴수무․파자무․팔수무․협 수무․홍정도돔무․환장무이다. 이들 용어들은 정재 종목의 명칭을 인용한 용어, 신체를 중심으로 한 용어, 비유적인 표현을 강조한 용어, 상징적인 용어, 음악 제목을 인용한 용어, 춤의 진행을 설명 한 용어로 구분되어 있었다.
세주로 기록된 정재춤사위는 당악정재와 향악정재 구분 없이 정재마다 중복 및 반복되어 사용 되었고, 특정 용어가 특정 정재에만 집중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정재춤사위는 대부분 진행부 에 기록되었지만, 특정용어가 도입부와 종결부에만 기록되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주요어 악학궤범,
영어 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jeongjae dance performance. The detailed annotations(細註) in Akhakguebeom were examined to find out about the dance movements in ques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There are 30 kinds of dance movements recorded in the detailed annotations in Akhakguebeom, which are termed gwangsu, gwangsumu, gwangsuhwanjangmu, guangyeom, geumjeonrakmu, geumcheokmu, nongumu, doyakmu, mureupdipimu, balbaditmu, balbaditjakdaemu, sasumu, suborokmu, jiseonmu, suyangsumu, suyangsumureupdipimu, suyangsuobangmu, oyangseonmu, inmu, yipmu, jeolhwamu, jeongeupmu, cheomyeom, chilmu, toesumu, pajamu, palsumu, hy대psumu, hongjeongdodommu and hwanjangmu. The terminology was classified based on jeongjae kinds, bodily movements, figurative and symbolical expressions, quotation of music titles and explanation of dance progression.
The dance movements of jeongjae recorded in the detailed annotations are used repeatedly both in the dangakjeongjae and hyangakjeongjae. Some jargons are found only in a few particular jeongjaes. The dance movements of jeongjae are mostly recorded in the progression part, but some particular jargons are found only in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Jungjae performance. The detailed annotations(細註) in akhakguebum were examined to find out about the dance movements in ques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무용기록학회지"의 다른 논문
- 문화자본이 문화향유 태도에 미치는 영향15페이지
- 대학교양무용 참가 대학생이 지각한 지도행동이 흥미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20페이지
- 모티프(Motif) 이론을 활용한 초등무용영재들의 창의적 움직임교육 사례17페이지
- 심신통합적 움직임 교육으로서의 무브먼트 리츄얼(Movement Ritual)에 관한 고찰22페이지
- 교육과 예술의 통합적 실천도구로서의 타말파 표현예술치료의 현상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18페이지
- 통합과 분리를 통해본 가·무·악(歌·舞·樂)의 역사적 흐름 연구22페이지
- 화성재인청류 살풀이춤의 미적 특성15페이지
- 자예(慈藝) 송수남(宋壽男)의 삶과 업적 그리고 춤17페이지
- 대교약졸(大巧若拙)의 미적 지향으로 본 김수악의 춤 - 진주교방 굿거리춤을 중심으로22페이지
- 무용공연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분석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