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일부 중년 성인의 운동습관에 따른 식습관 및 스트레스 상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식품영양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29권 / 1호
ㆍ저자명 : 김세윤, 서연자, 김미현, 최미경
ㆍ저자명 : 김세윤, 서연자, 김미현, 최미경
영어 초록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health concern, eating habits, dietary behavior, and psychological stress among middleaged adults in Chungnam according to their exercise status. A total of 437 adults with a mean age of 42.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one of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exercise status: never doing exercise (NDE; n=144), doing exercise once a week (DEO; n=186), and doing exercise twice a week or more (DET; n=107). Result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rn about health, subjective health status, meal regularity, dietary problems, and stress score among the three groups. The DET and DEO groups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health (p<0.001), and had a perception that their health status was better than that of the NDE group (p<0.01). A larger percentage of the DET group had breakfast everyday (p<0.05) and a smaller percentage of the DET group had dietary problems such as irregular mealtime and skipping meals (p<0.01),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 average stress score of the DE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DEO and NDE groups (p<0.05). The results reveal that doing regular exercising at least twice a week is associated with higher health concern, more desirable dietary habits, and lower psychological stress in middle-aged adults. These findings support the beneficial effects of regular exercise for health, dietary habits, and stress control.참고 자료
없음"한국식품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
재배방법에 따른 팥의 항산화 특성 및 앙금의 품질 특성10페이지
돼지감자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6페이지
전라남도 장수지역 및 서울 일부 지역 거주 80대 노인의 맛 선호도, 식품섭취빈도, 영양 섭취 상태..13페이지
보호동기요인이 나트륨 저감화 관련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남․부산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11페이지
베이비부머 여성들의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HMR 구매행동 및 요구도17페이지
전공 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인식, 지식 및 구매 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8페이지
국산 프로폴리스의 Helicobacter pyrori 억제효과6페이지
흑토마토 분말을 첨가한 냉동 쿠키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8페이지
도토리의 일반 성분과 도토리 추출물의 기능에 관한 연구 고찰7페이지
나트륨 저감 제품에 대한 태도, 수용도 및 나트륨 인지가 나트륨 저감 식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