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학생들의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그 대처반응형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ㆍ수록지정보 : 교육논총 / 53권 / 2호
ㆍ저자명 : 한만규
ㆍ저자명 : 한만규
목차
I.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이 대학생활 중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을 종합적으로 탐색해보고,그들의 대처반응형태를 조사 분석하는 연구로, 2015학년도 00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383명을 대
상으로 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육대학 학생들의 학교생활 스
트레스는 보통수준으로 높지 않았다. 둘째, 학교생활에 대한 스트레스 수치는 여학생들이 남학생
들보다 높았고, 스트레스에 대한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남학생들은 이성관계 그리고 여학생들은 가
치관과 외모요인에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셋째, 학교생활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학년은 1학년
이었으며, 1학년은 가치관, 2학년은 이성, 3학년은 학업, 4학년은 가치관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
내었다. 넷째, 교육대학 학생들의 학교생활 스트레스에 대처반응 형태는 정서적 진정, 사회적 지
원, 긍정적 해석, 적극적 대처, 적극적 망각의 순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 스트레스에 대처반응형태는 남학생들은 정서적 진정, 긍정적 해석, 적극적 대처, 사
회적 지원의 순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들은 사회적 지원, 정서적 진정, 긍정적 해
석, 적극적 대처, 적극적 망각의 순으로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년에 따
른 학교생활 스트레스에 대처반응 형태는 1학년은 사회적 지원, 2학년은 정서적 진정, 3학년은 긍
정적 해석, 4학년은 정서적 진정의 형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mprehensively analyze the searchtry their coping responses form the stress during students experience of university of
education. A survey analysis, targeting 383 people attending the 2015 school year G
university of educatio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ress of school life in university
student of education was not high to a normal level. Secondly, the stress levels in
school life girls were higher than boys, if you look at the sub-factors for stress boys
rational relationship and girls the values and appearance factors the stress was
highest. Thirdly, it was the highest grade in school stress is the first grade, first
grade values, the second year is rational, 3 academic grade, fourth grade showed the
highest values. Fourthly, coping with scool stress response form in university students
of education had been shown to respond to truly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positive analysis , active coping, net of active forgetting. Fifthly, response form of
school life stress, according to sex boys emotional calm, positive analysis, active
coping appeared to correspond to the order of social support, girl had social support
emotional calm, positive interpretation, and actively respond positively showed that in
order to respond to the stress of forgetting. Finally, combat stress responses form a
school according to grade was the first grade social support, emotional calm was the
second year, third year was a postive interpretation, grade 4 was the highest form of
emotional calm.
참고 자료
없음"교육논총"의 다른 논문
- A Study on Some Proposals for Classroom Teaching15페이지
-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사례를 통한 컴퓨터적 사고 특성 분석15페이지
- 신규교사의 임용시험 선발관리의 한계와 개선방향22페이지
- 범용 통계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메타분석 방법 탐색15페이지
- 반응 목재에 대한 이해(I)15페이지
- 한국 고대사상의 원형(原型)탐구(Ⅲ) -신라의 건국설화와 화랑도-17페이지
- 1950년대 중반 일본 사회과 학습론의 변화에 관한 소고 –HIROOKA의 계통학습론을 중심으로-21페이지
- 다양성의 관점에서 고찰한 누가복음의 배경 - 마태복음 및 마가복음과의 비교를 통해19페이지
- 교육대학교 신입생의 출신 고등학교 유형, 학습양식 및 학교적응의 관계18페이지
- 초등사회과 지리교육내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2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