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시나리오 설정
Ⅳ. 회전교차로 신호미터링 적용방안
Ⅴ.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에서는 회전교차로의 운영효율성을 유지하면서 신호교차로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대응방안이 될 수 있는 회전교차로의 신호미터링에 대한 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교차로 전환기준을 새롭
게 제시하여 회전교차로 도입 확대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회전교차로의 신호미터링은 1차로형 4지 회전교차로에서 교통량이
상대적으로 높아 주방향으로 인식되는 접근로를 통제접근로(Controlling Approach), 교통량이 비교적 적어 부방향으로 인식되는 미
터링접근로(Metered Approach)로 설정하고 통제접근로에 검지기를 설치하여 대기행렬이 발생하면 이를 검지하여 미터링접근로에
설치된 신호기를 작동시켜 차량으로 하여금 회전교차로에 진입을 일시적으로 통제하는 운영기법이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은 회전교
차로로 진입하는 교통류의 회전비율(좌회전 10~30%, 직진 60~80%, 우회전 10%), 검지기 이격거리(40m, 50m), 신호미터링 적색시
간 길이(10, 20, 30초)를 시나리오별로 구축하여 진입교통량에 따른 최적의 조건을 찾고자 하였으며 VISSIM을 통해 신호미터링 도
입 전․후 비교결과를 통해 신호미터링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신호미터링 운영체계를 구현하기 위해 VISSIM에서 제공하는
VisVAP(VISSIM Vehicle Actuated Programming)를 활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