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 근로자의 사회적 자본이 문화적응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ㆍ수록지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 / 23권 / 1호
ㆍ저자명 : 이금희, 유양, 정동섭
ㆍ저자명 : 이금희, 유양, 정동섭
목차
Ⅰ. 서 론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1. 문화적응의 개념
2. 사회적 자본과 문화적응의 관계
3. 문화적응과 직무만족의 관계
4. 문화적응의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 자료의 수집
Ⅳ. 연구결과
1.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2.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상관관계
3. 가설 1, 2의 검증
4. 가설 3의 검증
Ⅴ. 결론 및 토의
1. 연구결과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미래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오늘날 한국사회가 국제화 시대에 진입하면서 한국에 있는 외국인 근로자수의 수가 대폭 증가하고 있 다. 하지만 이들은 열악한 근무환경과 저임금, 임금체불, 문화적응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사회적 자본의 특성인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지원이 그들의 문화적 응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을 고용하는 기업들과 이들을 지원하는 사회복지 단체 에 실무적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중국 조선족 근로자 191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근거로 하여 가설을검증하고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국인 근로 자의 사회적 자본 중 가족지원, 한국인 지원, 모국인 지원 및 한국인 네트워크 등 모든 변수가 매개변수인 문화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문화적응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변수인 문화적응은 가족지원과 직무만족의 관계, 모국인 지원과 직무만족의 관계, 그리고 한국인 네트워크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응은 한국인 지원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영어 초록
With the gradual impact of globalization,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in South Korea is increasing rapidly. But the workers are suffering from a lot of difficulties such as bad working conditions, lower income, unpaid wages, cultural adaptation, etc.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the social capital factors (social network and social support) influence cultural adapt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paper aims to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enterprises which support and recruit them. The sample of our respondents was 191 Korean-Chinese workers in Korea. We used SPSS 21.0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Korean network, family support, Korean support and native suppor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ltural adaptation. Moreover, Cultural adaptation significantly affects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cultural adapta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network and job satisfaction as well as between Korean/family/native support and job satisfaction.참고 자료
없음"인적자원관리연구"의 다른 논문
- 직무특성이 중고령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고령친화적 인적자원관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27페이지
- 고용가능성이 경력성장기회를 매개로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부유연성을 중심으로 -21페이지
- 피인수기업 구성원의 통합과정에 대한 인식이 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계층..25페이지
- 글로벌 인사체계 구축 사례 연구 - S기업 제3국 글로벌 인사 체계를 중심으로 -32페이지
-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적응성과 간의 관계 - 공유멘탈모델의 매개효과 -26페이지
- How Strategic HRM Practices Affect Corporate Performanc..25페이지
- 인적자원이 지각하는 직장 내 체험적 요인이 직원 간 상호작용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20페이지
-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기능별 조직문화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17페이지
- 비정규직 근로자의 일자리 인식과 태도에 대한 불교 사회윤리적 접근20페이지
- 직무스트레스의 도전·방해요인이 신체적 증상 및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정서의 매개..2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