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oB거래에서의 협업 Quality 측정도구 개발과 조직성과와의 관계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ㆍ수록지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 / 23권 / 1호
ㆍ저자명 : 옥정원, 엄성원
ㆍ저자명 : 옥정원, 엄성원
목차
Ⅰ. 서 론Ⅱ. 이론적 배경
1. 협업Quality의 개념화
2. BtoB거래에서의 협업의 중요성
3. BtoB기업에서의 협업을 통한 조직성과
Ⅲ. 연구방법
1. 연구절차
2. Study 1
3. Study 2
4. 연구가설 및 검증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연구의 요약
2.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연구과제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BtoB거래에서의 협업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협업을 구성하는 요소가 불명확하기에 협업Quality라고 명명한 측정도구 개발이 목적이며, 이를 바탕으로 BtoB기업의 조 직성과와의 구조적 관계를 연구한 논문이다. 협업Quality의 측정개발은 Study1, Study2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Study1에서는 FGI를 통해 협업 Quality의 측정항목을 개발하고, 전문가 집단의 인터뷰를 통해 협업의 구성요인을 알아냈다. Study2에서 는 측정항목들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여 4개의 요인으로 도출하였고, 이 요인들을 신뢰, 공유된 목표, 정보공유성, 조직유연성으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요인들과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협업Quality는 BtoB거래에서 공급업체와 구매업체간의 협업을 의미하며, 개발된 측정도구는 향후 협업과 파트너십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asuring tool called 'Collaboration Quality amid current uncertainty over elements forming collaboration despite its importance in BtoB transaction under rapidly changing business management environment, on which basis we investigated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BtoB corporat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The measurement and development of Collaboration Quality were made in Study 1 and Study 2. Study 1 involved development of measurement items related to Collaboration Quality through FGI and identification of components forming collaboration through interview of expert groups. Study 2 involved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ing instruments and derivation of 4 related elements which were called reliability, shared objectives, information-sharing, and organizational flexibility. Finally, we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rived element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In conclusion, the Collaboration Quality in this study refers to collaboration between corporate suppliers and corporate buyers in BtoB transaction and will provide basis for research into collaboration and partnership in the period ahead.참고 자료
없음태그
"인적자원관리연구"의 다른 논문
- 조선족 근로자의 사회적 자본이 문화적응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18페이지
- 직무특성이 중고령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고령친화적 인적자원관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27페이지
- 고용가능성이 경력성장기회를 매개로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부유연성을 중심으로 -21페이지
- 피인수기업 구성원의 통합과정에 대한 인식이 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계층..25페이지
- 글로벌 인사체계 구축 사례 연구 - S기업 제3국 글로벌 인사 체계를 중심으로 -32페이지
-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적응성과 간의 관계 - 공유멘탈모델의 매개효과 -26페이지
- How Strategic HRM Practices Affect Corporate Performanc..25페이지
- 인적자원이 지각하는 직장 내 체험적 요인이 직원 간 상호작용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20페이지
-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기능별 조직문화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17페이지
- 비정규직 근로자의 일자리 인식과 태도에 대한 불교 사회윤리적 접근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