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영조 탕평정치 선행연구
Ⅲ. 영조 탕평책의 사회경제적·이론적 배경
1. 조선 후기 사회경제적 배경
2. 영조의 탕평책에 대한 이론적 배경
(1) 탕평의 이념과 초기 학자들
(2) 영조대 학자들의 탕평책 방법론
(2) 영조의 학문적 역량 및 국왕관
Ⅳ. 영조의 탕평책 실시
1. 탕평정치의 네 가지 목표와 전개
2. 영조대 시기별 탕평책
(1) 己酉處分과 소론 중심의 탕평
(2) 庚申處分과 노론 중심 탕평
(3) 영조대 후반 탕평책의 변질
Ⅴ. 영조 탕평책의 의의 및 한계
1. 영조 탕평책의 의의: 탕평을 위한 국가 체제 재정비 및 세제 개혁
2. 영조 탕평책의 한계
Ⅵ.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본 논문에서는 영조의 탕평책이 18세기 조선 후기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붕당의 폐단으로 인한 혼란 속에서 어떤 역할을 했고, 그 의의와 한계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했다. 일단, 영조가 탕평책을 실시하게 된 사회경제적·이론적 배경을 언급하였다. 18세기는 사회경제적으로 상품화폐 경제가 발달하면서 상업적 이익 독점 경향이 커졌다. 또한, 사대부의 향촌 지배력이 약화되면서 중앙권력과 군사권 장악에 대한 욕심이 커지면서 붕당정치가 변질되었다. 즉, 새로운 통치방식이 필요한 시기였다. 그리고 이론적 배경으로는 중국에서 조선으로 이어지는 탕평의 유래와 그것을 조선의 현실에 맞추어 재해석한 朴世采, 그리고 영조대의 趙文命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영조대 탕평책의 방법론을 제기한 학자들의 탕평책 방법론과 영조 개인적 역량 및 국왕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영조 전반대의 소론 출신 대표적 학자인 趙顯命의 ‘互對雙擧論’과 ‘分等論’/ 영조 중반대 노론 출신인 元景夏의 ‘군자,소인을 가리지 않는 인재등용주장’/ 남인 중 청남계 정파 정치적 지도자인 吳光運의 ‘南·西·老·少를 막론하고 당인 중에서 명류로 지칭되는 인물들을 등용할 것을 주장한 원칙론’을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영조의 경종 죽음 전 정치적 위기 경험과 조선시대에 진강되었던 과목을 모두 포함시켜 이루어진 치열한 독서는 영조의 국왕관에 영향을 주었다. 영조의 이런 뛰어난 역량은 탕평책을 공고하게 했으나, 후반부에 결국 지나친 과신을 불러오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영조는 최장수한 임금으로 그만큼 재위기간이 길었다. 그러므로 영조 탕평책을 어느 특정시기에 한정시켜 보는 것은 그 의의와 한계의 고찰을 어렵게 만든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영조의 탕평책을 즉위부터 후반부까지 모두 살펴보려했다. 그리고 그 시기를 탕평책의 특징에 따라 ‘己酉處分과 소론 중심의 탕평’, ‘庚申處分과 노론 중심 탕평’, ‘영조대 후반 탕평책의 변질’로 나누었다. 영조는 즉위 후 己酉處分 전까지는 환국의 정치형태를 사용했다. 이인좌의 난 이후에 탕평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고, 소론 중심의 탕평이 이루어졌다.
참고 자료
김백철, 『두 얼굴의 영조-18세기 탕평군주상의 재검토』, 태학사, 2015.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 역사, 1998.
『영조 시대를 만든 사람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이태진·김백철, 『조선후기 탕평정치의 재조명』, 태학사, 2011.
김백철. 「영조 만년의 초월적 권위와 ‘大蕩平’」. 『역사학보』, 214, 2012.
김은희, 「英·正朝代 蕩平基盤 造成을 위한 制度改革 考察 」,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01.
박광용, 「탕평론과 정국의 변화」, 『한국사론』, 10, 1984.
「조선의 18세기」. 『역사학보』, 213, 2012.
이근호, 「영조대 중반 葉向高 평가 논란의 정치적 함의」, 『한국학논총』, 34, 2010.
이유경, 「英祖 初期 蕩平政局의 推移에 관한 考察」,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11.
이희환,「영조대 탕평책의 실상(상)」, 『전북사학』, 16, 1994.
「영조대 탕평책의 실상(하)」, 『전북사학』, 17, 1994.
정재훈, 「영조의 제왕학과 국정운영」, 『韓國思想과 文化』, 77, 2015.
최성한, 「[특집:영조 후반기 탕평정치의 변화와 정치 세력의 동향] 영조대 후반의 탕평정국과 노론 청론의 분화」, 『역사와현실』, 53, 2004.
조선왕조실록, sillok.history.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