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사회과교육연구 / 22권 / 4호
ㆍ저자명 : 이정희
ㆍ저자명 : 이정희
목차
I. 들어가며II. 자연재해·방재교육에 대한 인식
III. 사회과교육과정에 반영된 자연재해 · 방재교육의 변천
IV. 초등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자연재해 · 방재교육
V. 나가며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반영된 자연재해·방재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그 특징을 해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요목기부터 2009개정교육과정 시기에 이
르기까지의 교육과정을 검토한 후 자연재해·방재교육의 변천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연재해·방재교
육이 가장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시기에 반영된 사회과교과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우리나라 자연재
해·방재교육의 특징을 해명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도출되었다. 첫째, 우리나라의 자연재
해·방재교육은 교수요목기를 기점으로 하여 정도에는 차이가 있으나 어느 정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
다. 둘째, 우리나라의 자연재해·방재교육의 변천을 살펴보면 교수요목기에 처음으로 등장하여 1, 2차 교
육과정기에는 잠재적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3차 교육과정기부터 7차 교육과정기의 비교적 긴 기간 동안
에는 현재적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으나 2007, 2009개정교육과정기에 들어서는 다시 축소되어 소극적으
로 반영되고 있었다. 셋째, 우리나라의 자연재해·방재교육의 내용은 시점기부터 주로 지식적인 측면과
기상재해에 대한 인식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방재에 대해서는 조림과 삼림보호, 제방, 댐 건설 등의 구조
적인 방법 중심의 인식이 강조되어 왔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 and disaster preventionreflected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in Korea to evaluate its
characteristics. The education curriculum from the period of the syllabus to the 2009 amended
curriculum has been reviewed, and the historical changes of natural disaster and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have been evaluated. Thereafter,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 at the peak era of natural
disaster and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were analyz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disaster and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in Korea. As a resul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First, from the period of the syllabus, the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 and disaster
prevention in Korea showed some differences, while the education itself was implemented
continuously. Second, the historical changes of education in natural disaster and disaster prevention
in Korea indicates that the education itself appeared during the period of the syllabus for the first
time and was acknowledged as being somewhat lacking during the first and second curricula periods, and from the third to the seventh curricula periods, it was acknowledged contemporarily,
while it was diminished from the amended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and 2009 to a passive
perspective. Third, education in natural disaster and disaster prevention in Korea accentuates
academic awareness and perception, and the perception of structural methods such as the protection
of forests, embankments, and dam construction was emphasized as disaster prevention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