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ting Educational Design Research: From an Idealistic to a Viable Research Framework for Educational Researchers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6.06.07
- 최종 저작일
- 2016.03
- 21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공학연구 / 32권 / 1호
ㆍ저자명 : Eunjung Grace Oh, Ji-Yeon Lee, Thomas Reeves
목차
I. Introduction
Ⅱ. Conducting Educational Design Research(EDR)
Ⅲ. Educational Design Research in Action: A Case on Student Plagiarism
Ⅳ. Moving Forward: Becoming an Educational Design Researcher
V. Conclusion
References
한국어 초록
Educational Design research(EDR) is distinguished from conventional educational research in itspursuit of dual goals in producing new reusable knowledge and improving educational practice. Theoutcomes of EDR can lead to sustained educational improvement; however, EDR has not been widelyadopted within the educational technology community. Particularly, there are perceptions that EDR istoo difficult or complex for doctoral students or that it requires longer commitment than usualduration that most doctoral students use for conducting their doctoral dissertations. The purposeof this paper is to address these perceptions so that eventually there will be more and betterdissertations completed by doctoral students that can be characterized as EDR, and that these studieswill be done in such a way that the twin goals of solving serious problems and contributing newdesign principles are realized. In this paper, first, we describe in general terms what EDR looks likewhen it is planned, implemented, and reported by doctoral students. Then, to assist graduate studentsand early career scholars in engaging in EDR projects, we present an authentic EDR case study onacademic integrity and plagiarism in a university context and the steps taken in that research,including lessons learned and challenges encountered. Finally, we address important measures and stepsto be considered in beginning the journey of an EDR project.
영어 초록
본 논문은 국내 연구자들, 특히 연구경력이 길지 않은 대학원생들이나 신진연구자들에게는 아직도 비교적 낯설고 부담스러운 연구이론으로 여겨지는 디자인기반 교육연구(Educational Design Research)에 대한 이해를 돕고, 단순히 새롭고 이상적인 대안적 연구이론으로서가 아니라 다양한 교육문제의 해결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을 위한 매력적이고 실천가능한 연구모형으로서 디자인기반 교육연구를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먼저 기존의 실증적이고 이론중심적인 교육연구 패러다임과 차별화되는 디자인 기반 교육연구의 취지와 주요 특징들을 살펴보고, 박사학위과정에서 이같은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 프로젝트를 계획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디자인기반 교육연구의 수행과정을 ‘분석및 탐색 - 설계 및 구성 - 평가 및 성찰’의 3 단계로 나누어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는McKenney와 Reeves(2012)의 일반적인 과정모형을 소개하였다. 특히, 지속적이고 효과적인여러 차례의 반복적 설계주기(reiterative design cycle)와 현장 실무자들과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디자인기반 교육연구의 특징으로 인해 적극적으로 디자인기반 교육연구를 시도하지 못하는 대학원생들이나 신진연구자들을 위하여, 국내에서 실제로 일반적 과정모형에 따라 대학생의 과제표절로 인한 문제해결을 위해 디자인기반 교육연구를 수행한 사례와 함께 연구자들을 위한 전략적이고 경험적인 조언들을 제시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
더보기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