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노인의 빈곤: 성인지적 사회적 배제 관점에서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6.06.07
- 최종 저작일
- 2008.12
- 24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3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노년학연구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노년학연구 / 17권
ㆍ저자명 : 송미영
목차
서 론
여성노인의 빈곤에 관한 이론적 검토
연 구 방 법
연구결과 및 해석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성인지적 사회적 배제관점에서 한국여성노인의 빈곤을 살펴
보기 위하여 차상위 실태조사자료(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를 활
용하여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기존의 문헌연구를 통해
서 여성노인의 빈곤원인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는 성별
이었으며, 종속변수는 다양한 차원의 사회적 배제결과인 근로로부터
의 배제, 교육으로부터의 배제, 제도적 배제, 주거로부터의 배제, 문
화적 배제, 사회적 관계망으로부터의 배제, 경제적 배제로부터 여성
노인의 빈곤이 존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
육으로부터 배제 및 사회적 관계망으로부터의 배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나머지 사회적 배제형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
지 않았다. 성인지적 사회적 배제 관점의 모든 차원에서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빈곤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영어 초록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poverty of the elderly women in
Korea from the gender sensitive and social exclusion perspectives.
A set of survey data, using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analyzed for this purpose. Independent variable was gender, while
dependent variable was the binominal condition of exclusion or
inclusion (non-exclusion). Control variables we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e., age, marital status, disabled status, chronic
disease), social characteristics of subjective economic level in the
future, and their residential area. Seven types of exclusion (labor
market exclusion, exclusion from education, institutional exclusion,
exclusion form housing, cultural exclusion, exclusion from social
network, economic exclusion) were fixed in the analyses. The
concise findings of the analyses were that exclusion from education
as well as exclusion from social network were mainly influenced
by gender. However, the other social exclusion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it.
참고 자료
없음
"한국노년학연구"의 다른 논문
더보기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