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따른 실행수준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11권 / 5호
ㆍ저자명 : 유희정
ㆍ저자명 : 유희정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만3~4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따른 실행수준을 분석하고자 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과 실행수준과의 관계,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
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서울과 경기도 내 어린이집 보육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인식과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실행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계수 방법을,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다
중회귀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연구결과 첫째, 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보통 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행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특히 실행 및 지원
인식은 이론적 근거 및 성격과 높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만3~4세 누리과정에서 만족
도의 전반적인 경향은 보통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역시 실행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교육과정의 만족도는 실행수준의 평가와 관계가 있으며 실행 및 지원의
만족도는 자료와 관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3~4세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중 실
행 및 지원 인식은 실행수준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만족도에 있어서는 교육과정의 만
족도가 평가 실행수준에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alysis level of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of age 3 ~4 child-care teachers. It recognized general tendencies abou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 among level of implementation and perception, satisfaction of the Nuri Curriculum of age 3~4
Child-care teachers. And it also recognized the effect of level of implementation o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 survey was therefore administered to 264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oung-gi
do. The collected data were by mean, standard deviation for recognize general tendency about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ther data were by pearson 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general perception on Nuri Curriculum of age 3~4 Child-care teachers were
a little above average, and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 and teacher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Specially perception of practice and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oretical basis and character. Secondly, general tendency of satisfaction were
above average, and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and teacher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Specially satisfaction of curriculu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ssessment and practice and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ing material.
Thirdly, the practice and support perception exerted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teacher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and satisfaction of curriculum exerted influence on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
level of implementation.
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보육지원학회지"의 다른 논문
- 예비보육교사의 현실 충격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인구학적 배경,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완..21페이지
- 보육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22페이지
- 이야기 상황에 따른 유아의 정서표현규칙이해: 의도추론유형과 성의 상호작용효과18페이지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행복 의미 구성 과정32페이지
- 유아교사의 관점에서 본 교사와 학부모의 갈등과정 : 근거이론적 접근24페이지
- 팝업책과 일반평면책에 대한 유아의 읽기 반응 비교21페이지
- 유아의 기질, 부모의 양육방식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24페이지
- 직장어린이집 교사헌신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18페이지
- 유아의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의 관계17페이지
- 어머니의 산후 우울감과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