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지표에 따른 황반변성 유병률과 예측치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대한시과학회
ㆍ수록지정보 : 대한시과학회지 / 16권 / 3호
ㆍ저자명 : 예기훈, 이완석
ㆍ저자명 : 예기훈, 이완석
한국어 초록
목 적: 황반변성의 유병률 변화예측과 사회적 지표에 따른 비교를 통해서 황반변성을 일으킬 수 있는 요 인을 알리고자 한다. 방 법: 2012년에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가 시행하여 발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2008 년에서 2012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18007명이며 SPSS(Ver12.0)를 사용하였다. 결 과: 지난 5년간 연령별 황반변성의 유병률은 40~49세 1.3%, 50~59세 4.5%, 60~69세 10.1%, 그리 고 70세 이상에서는 16.3%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하였다(p=0.00). 남성은 50~59세와 60~69세 연령층에서 5.0%의 가장 큰 유병률 차이를, 여성은 60~69세와 7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7.7%의 가장 큰 유병률 차이를 나타내었다. 2012년 지역별 황반변성 유병률은 동 지역 4.2%(n=171)와 읍 지역 6.3%(n=63)(p=0.00), 교육수준별 황반변성 유병률은 초등학교 9.8%(n=113), 중학교 6.0%(n=31), 고등학교 3.0%(n=51), 그리고 대학교 1.8%(n=18)를 각각 나타내었다. 결 론: 60~69세 이후부터는 성별간의 황반변성 유병률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안질환과 보건교육에 대한 기초지식이 낮은 저학력층과 농어촌에 거주하는 세대의 황반변성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영어 초록
Purpose: We tried to inform the public of the factors that can cause macular degeneration through the prediction of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macular degeneration and comparison of social indicator. Methods: We have done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 from 2008 to 2012 published in 2012. All the people surveyed were 18007, and we used by SPSS (Ver12.0) a statistical process. Results: The prevalence of macular degeneration by age group got increased according to their age increases and was 1.3% in 40~49 ages, 4.5% in 50~59 ages, 10.1% in 60~69 ages, and 16.3% in over 70 ages(p=0.00). The male showed the greatest gap in the 50~59 ages and 60~69 ages groups by 5.0%, and female showed the greatest gap in the 60~69 ages and over 70 ages groups by 7.7% in the last 5 years. When comparing dong eup regions, it found that dong was 4.2%(n=171) and eup was 6.3%(n=63)(p=0.00). When comparing educational level, elementary schcool group was 9.8%(n=113), middle school group was 6.0%(n=31), high school group 3.0%(n=51), and college & university group was 1.8%(n=18) in the 2012. Conclusion: We found a big difference of gender in the prevalence of macular degeneration over 60~69 ages. Also, we will need to have active management on the low education group and the people who live in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 with the lack of basic knowledge about ocular disease and health education참고 자료
없음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황반변성 스터디 간호진단5개 12페이지
- 황반변성 3페이지
- [병태생리학]황반변성 9페이지
"대한시과학회지"의 다른 논문
- 한국 안경사의 현황, 문제점들과 해결방안19페이지
- 서울 일부지역 안경원 방문자의 연령에 따른 굴절상태 변화11페이지
- 안경광학과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 및 전공 만족도의 관계 - 충청지역 중심으로-12페이지
- 스마트폰 사용여부에 따른 온도와 상대습도 변화가 건성안 유발에 미치는 영향11페이지
- 성인과 아동에서 굴절이상도와 안광학 상수의 상관성 분석11페이지
- 근시성 굴절교정수술안의 각막 중심부 및 주변부의 비구면도11페이지
- 자동렌즈미터의 4점 방식과 Shack-Hartmann 방식에 따른 구면 안경렌즈 굴절력 측정9페이지
- 고카페인 에너지음료가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15페이지
- 1999년부터 2014년까지 대전지역 만 6세 아동의 굴절이상 변화9페이지
- LED광원의 조도와 색온도에 따른 근거리입체시의 변화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