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변전소시설 부지 인근관측소의 지반증폭 특성 및 파형에너지 수준 비교 연구
(주)코리아스칼라
- 최초 등록일
- 2016.05.03
- 최종 저작일
- 2016.02
- 12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4,3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지구과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지구과학회지 / 37권 / 1호
ㆍ저자명 : 유성화, 김준경, 위성훈
한국어 초록
실제 국내에서 관측된 가속도를 이용한 스펙트럼 값이 내진설계기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 이며, 특히 고진동수 구간에서 국내 내진설계 기준이 국내 고유의 지반증폭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문제 점이 많다고 지적되어 왔다. 지반증폭 특성을 분석할 때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어 왔으며 본 연구는 현장에서 자주 적용되고 있는 지반진동의 수평/수직 스펙트럼 비율을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S파 및 레일리파를 이용 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였으나, 최근 Coda파 및 배경잡음 등에 확대 적용되어 지반의 동적인 증폭특성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제한된 연구 기간 동안 4개 변전소시설 관측소 각각 2개 지점(노두 및 시추공)에서 운영되었고 본 연구는 4개 관측소의 노두에서 동시에 관측된 3개 중규모 지진의 가속도 지반진동(S파, Coda파 및 배경잡음)을 이용하여 지반 증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4개 관측소 각각에 대해 기존 연구결과인 시추공 지반증폭 특성과 상호 비교하였다. 또 한 각각 관측소 및 지점에서 지반의 우월진동수를 이용하여 각각 지반에 대한 등급분류도 시도하였다. 각각의 지진관측 소마다 저진동수 및 고진동수 특성, 관측소 고유의 우월진동수가 서로 상이하여 관측소 고유의 증폭특성을 보여주었다. 대다수 관측소는 S파, Coda파 및 배경잡음 에너지를 분석한 결과와 많은 부분이 유사함을 보여 주었다. 물론 본 연구 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다른 방법에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와 비교한다면 지반의 동적 특성 및 지반분류 연구에 많은 정 보를 제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영어 초록
The problem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domestic design response spectrum does not reflect site amplification, particularly in the high frequency bands, including the fact that site specific response spectrum from the observed ground motions appears relatively higher than design response spectrum. Among various methods, this study applied H/V spectral ratio of ground motion for estimating site amplification. This method, originated from S waves and Rayleigh waves, recently has been extended to Coda waves and background noise for estimating site amplification. For limited time of periods, 4 electric substation sites had operated seismic stations at two separate locations (bedrock and borehole) within each substation site. H/V spectral ratio of S wave, Coda wave, and background noise, was applied to 36 accelerations of 3 macro earthquakes (Odaesan, Jeju and Gongju earthquakes), larger than magnitude 3.4. observed simultaneously at each bedrock location within 4 electric substation sites. Site amplifications at the bedrock location of 4 sites were compared among S wave, Coda wave energy, and background noise, and then compared to the previous results from the borehole location data. The site classification was also tried using resonancy frequency information at each site and loca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all the electric substation sites showed similar site amplification patterns among S wave, Coda wave, and background noise. Each station showed its own characteristics of site amplification property in low, high and specific resonance frequency ranges. Comparison of this study to other results using different method can give us much more information about dynamic amplification of domestic sites characteristics and site classification.
참고 자료
없음
"한국지구과학회지"의 다른 논문
더보기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