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경제 신문, 2007년04월04일~07일자, 05월 27일자 외 스크랩
· 친환경자동차특집(www.yahoo.com/green_center)
· 선진화국민회의,『한미FTA대한민국 보고서, P.141~143
· “한 ․ 미 FTA 협정문(국문), 외교 통상부, 2007
· “한 ․ 미 FTA 분야별 최종 협상 결과”, 외교 통상부, 2007.
· “한-미 FTA 경제적 효과 분석”. 대외정책연구원 등, 2007.
· “한 ․ 미 FTA 타결의 산업별 영향과 산업구조 선진화 전략”, 산업연구원 국제산업협력실, 2007.
· “한 ․ 미 FTA 체결 후 자동차 수출입의 변화”, 한국자동차공업협회, 2007.
· 정인교 등, 『글로벌 시대의 FTA 전략』, 해남, 2006.
· 권경애, “한-미 FTA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한-미 FTA 교양 자료집」, 전국민중연대, 2006.
· “한-미 FTA의 문제점”, 민주노동당 정책위원회, 2006
· “한-미 FTA가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민주노총, 2006.
· “한-미 FTA 저지를 위한 국민교양 자료집”, 한-미 FTA 저지를 위한 범국민 운동본부, 2006.
· “한-미 FTA 분야별 평가 보고서(1차)”, 한-미 FTA 저지를 위한 범국민 운동본부, 2007.
· 이해영, “[한미 FTA 진단 6] 자동차 분야 손익 계산서”, 오마이 뉴스, 2007.
· 김세균 등, 『한미 FTA 국민 보고서, 』, 그린비, 2007.
· 김창섭, 2007, 『한․미 자유무역협정 체결이 국내자동차 시장에 미치는영향 및 대응방안연구], 연세대학교
· 이항구외, 2006, 『한․미FTA를 통한 산업구조 선진화 전략: 자동차 산업의 구조 구도화 방안”』,산업연구원
· 이항구외, 2006 『세계자동차 시장의 구조조정 및 우리의 대응』,산업연구원』
· 김지은, 2006 『한․미FTA의 배경과 기대효과에 대한 고찰』
· 오성철, 2005 『한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 KERI, 2007-1, 『한․미 FTA 주요 쟁점 분야별 협상 동향 및 영향 분석』
· KIET, 2007 『한미 FTA의 제조업 분야 수출입 효과 분석』
· 한국자동차공업협회, 2007 『2007 자동차 산업전망
· 한국 자동차공업협회, 2006 『최근의 북미자동차 산업동향』
· 한국무역협회, www.kita.net
· 한국수입자동차협회, www.kaida.co.kr
· 한국자동차공업협회, www.kama.or.kr
· 현대자동차, www.hyundai-moto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