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전쟁 사진의 수용과 해석: ‘대동강 철교의 피난민’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9.12
28P 미리보기
한국전쟁 사진의 수용과 해석: ‘대동강 철교의 피난민’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美術史論壇 / 29권
    · 저자명 : 박은영

    영어초록

    “The Refugees on Taedong River Bridge” by American war correspondent Max Desfor has been one of the representative images of the tragedy of Korean War. This article will analyze the manners and types of reception of this famous photo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new interpretation in view of trauma and ruins.
    Soon after this “Taedong Bridge” was made of a scoop photo of the war, it was reported on the main press in New York. The photo which was published in the magazine was reorganized in view of photojournalism which was prosperous and popular in that period and categorized to form specific historical narratives based on the type of events beyond the function of report of the scene. After it being awarded the Pulitzer Prize, the photo become well known as an image of horrible scene which raises sympathy for “poor and miserable” people threatened by a war.
    In (South) Korea, “Taedong Bridge” has been a familiar image to the most people through textbooks, photo books and mass media. This photo, which was reproduced and supplemented by comments, has been used to make collective official memory of the Korean War as a battle for liberty, so that it contributed to establish national identity of “liberal” Republic of Korea. However, only useful memories for the community were selected and weaved in the master narrative in the process, thus various individual memories and experiences were suppressed.
    The photo of “Taedong Bridge” expresses the real image of the Korea war not in its realistic representation but in the trauma it provokes. Focusing on this trauma, we can listen to the individual painful voices, which have been left out of the official memory. This photo which has been numerously reproduced testifies the existing pain still uncured.
    With the demolition of man-made construction and the fall of human beings, “Taedong Bridge” represents the ruins of modern war. This broken iron bridge in the photo has monumentality with its form, scale and material, but exposes its decline into ruin, in the light of the iconography of modern culture. It implies a collapse or loss of the past, due to demolishing power of the war, which was a unified stable world such as life, prosperity, achievement, order, etc. Furthermore, the ruins depicted in “Taedong Bridge” is related to the apocalyptic vision, while indicating the ultimate ruin to which all things and beings are subjected.
    Photographic representation reinforces the ruin, because image is just the thing of the past and the instantaneous fragment of the photo breaks historical continuity. The memory of event in the past, condensed in this image of ruin, can be experienced through fragmentary ruptures. It is connected with trauma that suddenly invokes the experience of loss.
    “Taedong Bridge” refreshes various ranges of experiences to the persons in all, who experienced the Korean war and direct and indirect witnesses as well, through memories lost in the ruin, reformed or returned by trauma.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