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청자에 대한 사회적 기억의 형성과정으로 본 조선 후기의 정황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9.12
24P 미리보기
고려청자에 대한 사회적 기억의 형성과정으로 본 조선 후기의 정황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美術史論壇 / 29권
    · 저자명 : 장남원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ed from questions that Goryeo celadon, flourishing in Goryeo period and trending in Asia at the same time, had been suddenly attracting academic attention to both Korea and Japan scholars in modern times, and revived as a collection of artifacts and reproduction with exhibitions. It has important influence of the concern and collection of Goryeo celadon, and reading of the text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 the process of knowing the reason why people are reminded the relationship of the equation, ‘Goryeo’=‘Feisek(翡色)’.
    There are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and literary records reveal recognition on Goryeo celadon. Among them, manuscripts of Gaolitujing (高麗圖經), recorded a itinerary of country messenger of Northern Sung who had come to Goryeo in 1123, written by Xu Jing (徐兢), is thought to have contributed to give information of Feisek-celadon.
    There are not many information of Goryeo ceramics in Gaolitujing. It is no more than about 10 documents including earthenware and celadon. However, This is very important historical document to quate that writing year is sure and also the purpose and circumstance are clear. Because currently known historical record of Goryeo period is not many, actually it is very rare. And the types and materials of various vessels described in Gaolitujing have provided crucial evidence to study of the craft history occasionally.
    But in the meantime celadon-related documents of Gaolitujing have been quoted fragmentarily, so far there are no examples that consider the entire article collectively. Furthermore, it has never been studied how Gaolitujing has been understood along with its historicity. Already there can not be found the evidence that the Goryeo themselves called celadon ‘Feisek(翡色)’ in early Goryeo period in other internal and external records except Gaolitujing.
    However, It is very interesting that commenting Gaolitujing in histories and anthologies of Joseon period, through this document, the memories of Goryeo celadon had been continued constantly. In the existing opinion that perception of ‘Goryeo Feisek’ was derived from modern Japanese interest in Goryeo culture and domestic academic interest in history of Goryeo, futhermore it can be ascertained that Gaolitujing was read through the repeatedly reading, copying, garnering of various histories and anthologies of Joseon period. Particularly, three different types of copies in libraries of Ewha womans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Kyujanggak (奎章閣) were investigated in the process for the first time. Therefore significance of Gaolitujing as a text that helps better understanding Goryeo can be know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various information written about Goryeo in Gaolitujing has been provided a rigid point of view on Goryeo consistently and repeatedly. Especially the information of celadon was quoted by scholars as being reconstructed the contents of Goryeo sa(高麗史), Xiuzhonggin(袖中錦), and Gaolitujing. As a result, the interests and ideas of Feisek-celadon was not formed in Modern times, rather the memories through the text and the actual object were linked together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special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books and relics were introduced rapidly from China, it had become firml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