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문매체를 통해 본 한국 근대화단과 ‘南畵’: 용어, 작가, 그리고 단체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4.06
25P 미리보기
신문매체를 통해 본 한국 근대화단과 ‘南畵’: 용어, 작가, 그리고 단체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美術史論壇 / 38권
    · 저자명 : 황빛나

    영어초록

    Nanga(or Namhwa in Korean, meaning “Southern Painting”) is a school of Japanese painting which flourished during the Edo Period(1603-1868) but was only introduced to Korea in the 1920s. Nanga had also been referred to by another older term, Nanshuga(Namjonghwa in Korean or Nanzonghua in Chinese) until the 1890s when the Nanga Restoration Movement, formed as part of the Japan’s “Prevail Asia Policy” during the Taisho Period, exerted its influence across Japan and beyond. In this study the main discussion is focused on how Nanga, whose name and concept were only established in the 20th century, was introduced to Korea on the basis of news and articles about Nanga artists and their communities published by contemporary newspapers including The Gyeongseong Ilbo (The Keijo Nippo) in particular. It was in 1915 that the paper began to carry news about the new school of art, to be followed by other daily newspapers including The Chosun Ilbo and The Dong-A Ilbo, in which the first articles related with Nanga appeared in 1923. The earliest use of the term is related with articles written to introduce Korean art lovers to traditional Japanese paintings, the Korean Art Exhibition(朝鮮美術展覽會), which had only just been launched, and Japanese artists who crossed the sea to Korea to participate in the art fair as judges. Then, in the 1920s, Korean art students began studying Nanga and art schools, including the Korean Nanga Academy(朝鮮南畵院), which attracted not only Japanese artists settled in Korea but also Koreans who were interested in politics and business as well as art, came into being. The success of the Korean Art Exhibition led newspapers to produce a flood of art criticism resulting in in-depth discussions of Nanga artists and their works. The paintings were produced between the later 1930s and the 1940s under the slogan “paintbrushes for patriotism” and led to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s that supported Japanese colonialism, such as the Nanga Federation and the Daedong Southern Painting Society, in Japan, Korea, Manchurian and Taiwan. According to the newspaper articles, these organizations were launched with the aim of promoting patriotism among the public and contributing to Japanese victory in the wars it waged in that period, and invited participation by amateurs as well as professional artists. Interestingly, the Japanese imperialists who caused the Pacific War(1937-1945) were interested in the educational usefulness of Nanga, and adopted the traditional painting of the Four Noble Creatures and calligraphy, which had been regarded as obsolete elements of art, as important elements of Nanga.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