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 경전 『용담유사』에 나타난 ‘공공기복’(公共祈福) 해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ㆍ수록지정보 : 문학과 종교 / 20권 / 3호
ㆍ저자명 : 신은희
ㆍ저자명 : 신은희
목차
III
III
IV
V
VI
Works Cited
국문초록
한국어 초록
이 글은 동학과 천도교의 경전 『용담유사』(龍潭遺詞)에 나타난 수운의 신비체험을 ‘공공기복’(公共祈福)의 개념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기복은 종교의 가장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존재론을 구성한다. 기복의 현상이 사회적 공공성을 지닐 때 새로운 차원의 공동체적 응집력을 지닌 사회변혁과 개혁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용담유사』는 기복의 성격이 강렬하게 묘사되어 있는 경전이자 한글가사이다.『용담유사』에는 고통, 기복의례, 누미노제, 주체의 각성, 수행의 주제가 고백적으로 기록되어 있다.『용담유사』는 민중을 교화하기 위한 교육적, 개혁적 한글가사로서 공공기복의 개념과 부합되는 경전이다. 『용담유사』에 나타난 수운의 신비체험은 개인의 고통을 구도수행으로 극복하고, 인간 에너지의 최고 형태인 사랑, 애민(愛民)정신으로 생명 간의 끊임없는 연결과 소통을 추구하며 융합 정신으로서의 공공기복을 구현하고자한 사례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용담유사』는 불운한 시대의 아픔을 포용하는 영적 구도자인 수운의 깨달음과 우주적 합일을 통한 사회적 헌신을 종교문학적으로 고백하는 영적 노래로서 주체의 각성과 융합정신의 회복은 현대 사회 속에서 인간의 기복적 구도수행이 공공기복의 시민종교정신으로 재탄생 될 수 있는 새로운 구원의 서사를 제시하고 있다.영어 초록
The Song of Yongdam is one of the Donghak texts. Donghak was founded by CHOE Je-U (1824-64) whose honorific name was “Su-Un” in 1860, in an effort to find a way of salvation for the oppressed people. This paper interprets The Song of Yongdam from a perspective of ‘public invocation’ which is a popular form of prayer for God’s blessing. Su-Un’s mystical experience in The Song of Yongdam suggests a holistic vision of the public invocation indicating a radical union between the divine and human beings. The vision includes the social union among human beings, the revolutionary union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nd the ecological union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universe. The public invocation of The Song of Yongdam testifies an archetype of prophetic neo-humanism, containing a social protest against corrupt socio-political system and life-destroying culture. The public invocation of The Song of Yongdam calls for common agenda to promote Su-Un’s orthopraxis of the self-awakened spirituality.참고 자료
없음"문학과 종교"의 다른 논문
- Evolution or Degeneration in Thomas Hardy’s Jude the Ob..18페이지
- 찰스 웨슬리 찬송시에 나타난밀턴의 『실낙원』 영향 연구24페이지
- 에코페미니즘을 통해 본 『컬러 퍼플』의 종교관26페이지
- 야콥 타우베스의 ‘바울’ 독해에 나타난 근대적 해석 프레임 평가21페이지
- 한국고전문학과 샤머니즘23페이지
- 데리다의 ‘아케다’ 해체로 풀어본 돌아온 탕자18페이지
- 드니스 레버토프의 시와 하시디즘21페이지
- 김은국의 『순교자』와 엔도 슈사쿠의 『침묵』에 나타난 순교의 진실과 침묵하는 신20페이지
- C. S. 루이스의 『마지막 전투』에 나타난 적그리스도, 재림, 그리고 구원의 문제21페이지
- 여성의 영적 치유 공간: 토니 케이드 뱀버러의 『소금 먹는 사람들』의 예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