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큐레이션과 광고 - 버티컬 SNS에서 표현된 패션브랜드 이미지의 메시지 전략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복식문화학회
ㆍ수록지정보 : 복식문화연구 / 23권 / 3호
ㆍ저자명 : 신인준, 이규혜
ㆍ저자명 : 신인준, 이규혜
영어 초록
This paper examines advertising images of fashion brands in vertical social network site (SNS) from the viewpoints of message strategies. Vertical social network sites are types of social curation systems applied to social networking, where information is selected, organized, and maintained. Fashion brands communicate with consumers by presenting images on vertical SNSs, anticipating improvements in brand image, popularity, and loyalty. Those images portray content for particular brands and seasonal concepts, thus creating paths for product sales information. Marketing via SNSs corresponds to relationship marketing, which refers to long-term interrelationship and value augmentation between the company and consumer, and viral advertising, which relies on word of mouth distribution via social network platforms. Taylor’s six-segment message strategy wheel, often used for analyzing viral ads, was applied to conduct a content analysis of the images. A total of 2,656 images of fashion brands advertised on Instagram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brand values were somewhat related to the number of followers. Follower rankings and comment rankings were also correlated. In general, fashion brands projected sensory messages most often. Acute need and rational messages were less common than other messages. Sports brands and luxury brands presented sensory messages, whereas fast fashion brands projected routine images most often. Fashion brands promoted on vertical SNSs should portray advertising images that combine message strategies.참고 자료
없음"복식문화연구"의 다른 논문
- 패션비즈니스에서 소비자의 에코라벨 인지도가 기업연상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14페이지
- 관계혜택과 커뮤니케이션이 관계의 질과 장기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미용서비스 점포를 중심으로 -14페이지
-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원형 개발 연구 - 30대 여성 표준체형을 중심으로 -14페이지
- 소비가치가 패스트 패션 브랜드 구매에 미치는 영향16페이지
- 대한제국기 프록코트의 형태와 제작법에 관한 연구 - 박기종 유물 조사를 중심으로 -15페이지
- 국내 프로 여자 농구와 배구 유니폼의 디자인 분석과 개선방안14페이지
- 미국 대중문화에 있어서 소울 패션(Soul Fashion)의 의미13페이지
- 파사드가 의류브랜드 점포이미지와 점포태도에 미치는 영향12페이지
- 소셜커머스 이용자들의 의복쇼핑성향과 지각된 위험이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16페이지
- 한국 중년기와 노년기 여성의 상반신 체형 분류에 관한 연구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