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화순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특성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지구과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지구과학회지 / 32권 / 7호
ㆍ저자명 : 박영석, 김종균
ㆍ저자명 : 박영석, 김종균
한국어 초록
보성-화순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질집단별 자연배경치와 지구화학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1차 수계를 따라 하상퇴적물시료 186개를 채취하였고, 실험실에서 자연건조 시킨 후, XRF, ICP-AES, NAA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상퇴적물의 지질집단별 자연배경치와 지구화학적 특성을 알기 위해, 시료를 화강암질편마암(GGn)지역과 반상변정질편마암(PGn)지역으로 분리하였다. 화강암질편마암지역의 주성분원소 함량은 SiO2 45.5-73.09 wt.%, Al2O3 12-20.76 wt.%, Fe2O3(T) 3.72-8.85 wt.%, K2O 2.38-4.2 wt.%, MgO 0.75-2.77 wt.%, Na2O 0.78-1.88 wt.%, CaO 0.27-2.1 wt.%, TiO2 0.56-1.72 wt.%, P2O5 0.06-0.73 wt.% and MnO 0.03-0.95 wt.%이고 반상변정질편마암지역의 주성분원소 함량은 SiO2 43.74-70.71 wt.%, Al2O3 11.54-25.05 wt.%, Fe2O3(T) 3.44-13.46 wt.%, K2O 2.08-3.86 wt.%, MgO 0.65-2.99 wt.%, Na2O 0.63-1.7 wt.%, CaO 0.35-2.07 wt.%, TiO2 0.68-4.17wt.%, P2O5 0.1-0.31 wt.% and MnO 0.07-0.33 wt.%이다. 화강암질편마암지역 하상퇴적물의 위해원소 함량은 크롬 41.7-242 ppm, 코발트 7.6-25.1 ppm, 니켈 12-61 ppm, 구리 10-47 ppm, 아연 48.5-412 ppm, 납 17-215 ppm이고 반상변정질편마암지역은 크롬 29.6-454 ppm, 코발트 5.9-53.7 ppm, 니켈 8.7-287 ppm, 구리 6.4-134 ppm, 아연 43.6-370 ppm, 납 15-37 ppm이다. 화강암질편마암지역에서 크롬은 MgO와 코발트는 Al2O3, Fe2O3(T), MgO와 니켈은 Fe2O3(T), CaO, MgO와 높은 상관성을 가지나, 구리, 아연, 납은 비교적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반상변정질편마암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크롬, 코발트, 니켈, 구리는 주성분원소와 대부분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아연과 납은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영어 초록
We study the natural background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n geological groups of stream sediment in the Boseong-Hwasun area. We collected 186ea stream sediment samples along the primary channels and dried them naturally in laboratory. The contents of major,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were determined by XRF, ICP-AES and NAA analysis methods. In order to know the natural background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eological groups, we classified the studied area into granitic gneiss (GGn) area and porphyroblastic gneiss (PGn) area. The contents range of major elements for GGn area is SiO2 45.5-73.09 wt.%, Al2O3 12-20.76 wt.%, Fe2O3(T) 3.72-8.85 wt.%, K2O 2.38-4.2 wt.%, MgO 0.75-2.77 wt.%, Na2O 0.78-1.88 wt.%, CaO 0.27-2.1 wt.%, TiO2 0.56-1.72 wt.%, P2O5 0.06-0.73 wt.% and MnO 0.03-0.95 wt.%, and for PGn area it is SiO2 43.74-70.71 wt.%, Al2O3 11.54-25.05 wt.%, Fe2O3(T) 3.44-13.46 wt.%, K2O 2.08-3.86 wt.%, MgO 0.65-2.99 wt.%, Na2O 0.63-1.7 wt.%, CaO 0.35-2.07 wt.%, TiO2 0.68-4.17 wt.%, P2O5 0.1-0.31 wt.% and MnO 0.07-0.33 wt.%. The contents range of hazard elements for GGn area is Cr 41.7-242 ppm, Co 7.6-25.1 ppm, Ni 12-61 ppm, Cu 10-47 ppm, Zn 48.5-412 ppm, Pb 17-215 ppm, and for PGn area, it is Cr 29.6-454 ppm, Co 5.9-53.7 ppm, Ni 8.7-287 ppm, Cu 6.4-134 ppm, Zn 43.6-370 ppm, Pb 15-37 ppm area. There is a good correlation between Cr and MgO and Co among Al2O3, Fe2O3(T), MgO and Ni among Fe2O3(T), CaO, MgO whereas Cu, Zn and Pb have a low correlation for major elements in GGn area. Generally Cr, Co, Ni, and Cu have a good correlation with major elements, but a low correlation with Zn and Pb in PGn area.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지구과학회지"의 다른 논문
- 고등학교 천체관측 관련 개념의 지식상태 분석에 따른 교수-학습 효과11페이지
- 과학관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및 발전 방향 모색21페이지
- 화산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이해10페이지
- 반상조직에 대한 초임 지구과학교사들의 인식11페이지
- 중등 과학 교과서의 동해 해류도 분석28페이지
-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영상 오류 분석과 예비교사들의 반응23페이지
-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중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이해11페이지
-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지구온난화를 중심으로 -14페이지
- Projected Climate Change Scenario over East Asia by a R..14페이지
- Long-term Variation of the Freezing Climate near the Ha..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