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내의 전도성 구조를 고려한 3파원 지자기 모델링 및 차이 지시자의 적용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지구과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지구과학회지 / 24권 / 5호
ㆍ저자명 : 오석훈, 이덕기, 권병두, 윤용훈, 양준모
ㆍ저자명 : 오석훈, 이덕기, 권병두, 윤용훈, 양준모
한국어 초록
기존의 연구에서 제안된 한반도내의 전도성 구조를 정량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전도성 구조를 고려한 3차원 지자기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모델링 결과는 관측 유도 지시자를 잘 설명하며, 모델에서 설정된 임진강 벨트와 옥천대의 전도도 구조에 대한 가정이 유의미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반도의 서중부 관측점들(YIN, ICHN)은 임진강 벨트의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며, 한반도 서남부의 관측점들(HNS, CHY, DZN, MWN)은 옥천대의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측 유도 지시자로부터 해양효과를 제거한 차이 지시자를 계산하였는데, 한반도 서부의 관측점들은 주기 60분에서 관측 유도 지시자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특히 YIN, ICHN은 주기 10분부터 동일한 양상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옥천대와 임진강 벨트가 심부까지 확장된 전도성 구조라는 가설을 지지한다.영어 초록
We have performed 3-D geomagnetic induction Modeling considering with anomalous conductive structures to interpret the conductive anomaly proposed by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results of modeling coincide well with the observed induction arrow. we confirm the fact that Imjin River Belt and Ogcheon Belt presumed in the model are reasonable. In the western-middle area of the peninsula (YIN, ICHN) the induction arrows seem to reflect the existence for the Imjin River Belt and the induction arrows in western-south area (HNS, CHY, DZN, MWN) is likely to reflect the effect of the Ogcheon Belt. The difference arrow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sea effect from observed induction arrow in the western area of the peninsula at the period of 60-minutes, show little difference with the observed induction arrows. Especially, the difference arrows in YIN, ICHN also show a similar pattern to those at the periods longer than 10-minutes.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Imjin River Belt and the Ogcheon Belt extend down to the deep part of the crust in spite of the limitation of our model.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지구과학회지"의 다른 논문
- 한국 동해안 영일만 표층 퇴적물의 금속 함량과 공간 변화 특성14페이지
- Side Scan Sonar 자료처리에서 수중예인체의 절대위치10페이지
- 공주대학교 천문대 16인치 반사망원경의 원격 제어 시스템 구축11페이지
- 포항지역의 기후요소별 분석7페이지
- Application of Spatial Data Integration Based on the Li..12페이지
- 극지환경 수은의 대기화학과 환경학적 의미8페이지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한 도로의 대기확산 예측시스템 개발9페이지
- 이매패류 화석의 미구조와 화학조성에 따른 색깔변화9페이지
- 고등학교 10학년 과학 '지구의 변동' 단원에서 비유물 활용의 효과9페이지
- 제7차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구과학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 분석1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