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의‘실효적 지배’에 관한 국제법 판례와 사료적 증거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독도연구 / 10권
ㆍ저자명 : 김영수
ㆍ저자명 : 김영수
목차
1. 머리말2. 영토영해 분쟁 중 실효적 지배 관련 국제법 판례
3. 전근대 한국의 독도 관련 실효적 지배의 역사적 증거
4. 근대 한국의 독도 관련 실효적 지배의 역사적 증거
5. 석도에 관한 해석 및 러시아의 울릉도 조사
6. 맺음말
한국어 초록
기존 영토·영해 국제분쟁에 관련 국제법 판결을 살펴보면 실효 적 지배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독도 관련 한국의 실효적 지 배의 역사적 사실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인은 고대 이전 부터 울릉도에 거주했다. 한국정부는 최소 15세기 중엽 울릉도와 독도를 그 판도로 정확하게 인식했고, 울릉도와 독도의 영유권을 행사했다. 그 대표적인 증거가 1454년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 지」, 1531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이 바로 그 것이다.무엇보다도 17세기 말 한국 정부는 일본 막부의‘죽도도해금지령 (竹島渡海禁止令)’에 기초하여 한일양국의 현안 중 하나인 울릉도와 독도가 한국 영토라는 공식적인 확인 절차를 마무리했다. 여 기서 주목할 점은 일본이 소위‘안용복사건’(1693-1696)으로 촉발 된 한일 외교교섭 이후 1905년 시마네현의 독도편입까지 200년간 독도에 대한 아무런 영유권 주장도 제기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소위‘안용복 사건’이후 한국 정부는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관 심이 증대되면서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방어 노력을 기울였다. 한 국 정부는 이미 1694년 삼척첨사 장한상(張漢相)을 파견해 울릉도 를 자세히 살피게 했고, 1694년과 1697년 막부의‘죽도도해금지 령’이 내려지면서 울릉도 수토정책(搜討政策, 순검과 수색)을 정 식화했다. 그 후 한국 정부는 18세기 독도를 포함한 울릉도 수토 를 진행하면서 울릉도의 시찰, 울릉도 자원 조사 및 채취 등을 실 제로 실행했다.
대한제국 정부는 1900년 6월 내부시찰관(內部視察官) 울도시찰위 원(鬱島視察委員) 우용정(禹用鼎)을 울릉도에 파견하여 울릉도와 독도의 실효적 점유를 강화했다. 우용정은 1900년 자신의 보고서 인 울도기(鬱島記) 에서 대한제국 선포 이후 고종의 황제 등극을 표현했다. 이것은 서구 열강과 동등한 근대국가를 지향하려는 모 습 중 자국의 영토와 영해에 대한 행정관할 의식을 높이려는 고종 과 대한제국 정부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1900년 10월 25일 대한제국은‘울릉도를 울도 (鬱島)로 개칭하고 도감을 군수로 개정할 것’을 공포했다. 대한제 국 칙령 41호 2조에서 울도의 관할 범위가‘울릉전도와 죽도(竹島), 석도(石島)’로 규정되었다. 이것의 의미는 울릉도와 독도에 관한 대한제국의 영토의식과 주권행사가 대한제국 칙령 41호에 반 영되었다는 사실이다.
참고 자료
없음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국제법에 근거한 한국과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9페이지
- 독도의 국제법적 의미에 관한 문헌연구 10페이지
- 독도 영유권 분쟁에 관한 레포트(역사적, 국제법적 측면) 15페이지
- 국제법상 지리적 근접성의 원칙과 독도 19페이지
"독도연구"의 다른 논문
- 논문투고규정11페이지
- 죽도/독도와 석도(石島)의 비정 문제 노트13페이지
- 죽도 문제의 역사적 고찰20페이지
- 죽도=독도 문제와 일본국가43페이지
- 국제법상 쇄환정책에 의한 독도영토주권의 포기여부 검토24페이지
- 러일전쟁과 독도의 가치32페이지
- ‘죽도의 날’제정 이후 일본의 독도 연구 동향 - 이케우치 사토시의‘석도’논의를 중심으로 -30페이지
- 독도와 울릉도를 둘러싼 러・일의 각축과 조선의 대응54페이지
- 한국의 독도영유권에 대한 법사학적 쟁점과 식민지배21페이지
- 고지도를 통해 본 독도의 영유권5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