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개발 전략으로서 무경계 경력태도와 직장이동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ㆍ수록지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 / 22권 / 2호
ㆍ저자명 : 이규형, 이영면
ㆍ저자명 : 이규형, 이영면
목차
Ⅰ. 서 론Ⅱ. 직장이동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1. 조직요인
2. 작업환경요인
3. 직무요인
4. 개인요인
5. 최근의 연구경향
Ⅲ. 경력개발전략으로서 무경계 경력태도와 직장이동
1. 고용환경변화
2. 경력개발전략
3. 무경계 경력
4. 경력개발전략으로서 무경계 경력태도
5. 무경계 경력태도와 직장이동의 관계
Ⅳ.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및 논의
2.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최근 이직을 포함한 경력개념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과거 이직이란 기존의 조직에서 더 이상 안정적으로 일하기 어려워서 조직을 떠나거나 또는 업무수행에 대한 부정적 평가결과로 인해 조직을 떠나야만 하는 부정적인 측면이 강했다. 그러다보니 이직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어떻게 하면 이직률을 낮출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되었다.그러나 더 이상 고용이 안정적으로 보장되지 않는 경영환경에서 하나의 평생직장을 갖는 것이 어려워짐에 따라 평생직업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평생직장의 심리적 계약관계가 사실상 약화된 상황에서 직장경력은 단절되거나 재형성되기를 반복한다. 고용기회를 획득하거나 경력개발을 위한 직장이동이 잦아짐에 따라 조직 경계를 넘어 경력을 개발해 나가는 무경계 경력태도가 이직의 적극적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직관련 연구에서는 이직의 예측변수로써 조직요인이나 직무요인, 작업환경요인 및 개인특성요인들이 주로 연구되었으나, 이제는 적극적으로 직장을 이동하며 경력을 개발하는 이직 양상과 경력태도를 설명할 새로운 관점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무경계 경력태도를 경력개발전략이라는 적극적 관점에서 직장이동의 변인으로 보고, 무경계 경력태도와 직장이동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고찰하였다.
영어 초록
The career concept is changing rapidly in the labor marketplace in recent years. It becomes very difficult to have a lifetime employment within the same organization under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no lifetime job is secured and the pursuit of lifetime employability is increasingly getting prevailed. As the psychological contract for the life-long employment has been faded out, career experience in the organization is repeatedly disconnected and reformulated. So, it is natural that the turnover and inter-organizational mobility happen more frequently than before, and employees refer to boundaryless career as career development strategy.As a career development strategy, the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that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organizations is being magnified as a proactive factor to affect on the inter-firm mobility to pursue the lifetime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by those employees who develop their lifetime employability and sustain self-driven career in the market.
Based on this sense, the impact of the boundaryless career orientation on the turnover and inter-firm mobility is explored from a positive view point, apart from those negative factors of turnover such as low organizational commitment or low job-satisfaction etc.
참고 자료
없음태그
"인적자원관리연구"의 다른 논문
- R&D협력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 흡수능력의 조절효과 -15페이지
-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그룹일체성과 조직구성원 간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22페이지
- 감정노동의 경험이 노조태도에 미치는 영향 - 탐색적 실증연구 -22페이지
-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고객지향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소명의 매개효과 -17페이지
- 구성원의 다양성 수용 정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적..20페이지
- 건설현장 소장의 진성리더십이 현장직원의 조직시민행동, 종업원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후원인식의 매개..22페이지
- 상사신뢰가 구성원의 지식공유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 -25페이지
- 직장-가정 갈등과 이직의도간 서번트 리더십의 조절효과16페이지
- 개인-조직 가치 일치와 조직 기반 자존감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21페이지
- 고성과작업시스템하에서 인사관리 공정성에 따른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