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24권 / 2호
ㆍ저자명 : 이동소, 김관수, 안동환
ㆍ저자명 : 이동소, 김관수, 안동환
한국어 초록
1. 계획경제체제에서 농업부문의 비효율성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어왔으며,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이 이러한 만성적인 농업부문의 비효율성을 극복해 줄 것으로 기대함. 하지만 농업선진국과 체제전환국간에 농업생산성 격차가 상당히 큰 수준이며, 체제전환국 간에도 농업생산성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남.2. 이러한 체제전환국간 농업부문의 성과 차이는 각 국의 부존자원, 초기조건 그리고 이행과정에서의 시장지향적 정책의강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실증연구는 미미한 편임. 따라서 실증분석을 통해 부존자원과 초기조건 그리고 이행과정에서의 정책이나 소유권의 배분 방식등에 따라 생산성으로 계측된 농업부문의 성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향후 이들 국가의 농업부문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설정에 매우 중요함.
3.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체제전환 국가들의 시장경제로의 편입 이후 농업 생산성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생산성 변화의 결정요인 분석을 통해 체제전환국의 농업정책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음.
4. 본 논문의 시사점으로는 (1) 체제전환 이전의 토지 원소유자에게 토지 반환, (2) 시장경제로의 개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정책적제도적 방안 마련, (3) 체제전환정책을 입안함에 있어 특정 국가가 지닌 초기조건 고려임.
영어 초록
This paper aims to conduct an analysis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changes and its determinants in transition countries,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eir agricultural policies. The study uses data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changes in 22 transition countries from 1992 to 2007. The analysis relies on the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SFA). We also investigated the impacts of political factors and initial conditions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changes in transition countries. We identified three implications for agricultural reform in transition countries. First, it is advisable that the forfeited land during the process of land reform be returned to the original owner. Second, policies and institutional plans are needed for a smooth transition into market economy. Third, initial conditions of individual country experiencing transition must be explicitly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ransition policies.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의 다른 논문
- 해충저항성 Bacillus thuringiensis (Bt) 벼 급이가 벼물바구미(Lissorhop..7페이지
- 유전자변형 유채의 환경방출실험에서 격리포장 외부로의 도입유전자 이동가능성 모니터링6페이지
-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in Meedon Rice (Oryza s..9페이지
- 인체 조직형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인자를 발현하는 참외모상근의 대량생산6페이지
- Rapid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of Xanthomonas oryz..7페이지
- 한국과 불가리아 재래종 강낭콩 Phaseolus vulgaris L. 유전자원의 형태적 특성 및 S..7페이지
- 큰눈자미벼의 품질특성5페이지
- 묘삼 이식기종에 따른 생력화와 경제성 비교4페이지
- 키르기즈스탄의 농업현황 및 금후 농업기술 협력방안15페이지
- 이탈리아의 포도 및 와인 생산 동향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