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적외선 분광 분석법을 이용한 참깨의 지방함량 측정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22권 / 3호
ㆍ저자명 : 김정봉, 김민희, 이영이, 이호선, 이석영, 김헌웅, 추상미, 백형진, 조영숙, 김재현, 박홍주
ㆍ저자명 : 김정봉, 김민희, 이영이, 이호선, 이석영, 김헌웅, 추상미, 백형진, 조영숙, 김재현, 박홍주
한국어 초록
근적외선 분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참깨의 지방함량의 신속측정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검량식의 기본 모형은 다중 회귀 모형으로 하였으며, 회귀 모형의 독립 변수의 선택은 step-wise법을 이용하였다.1. 참깨의 121점 중 지방산 함량 분포는 palmitic acid(IT028899-7.2%, IT169359-10.0%), stearic acid(IT028897-4.5%, IT028910-7.0%), oleic acid(IT170020-32.2%, IT156371-46.5%), linoleic acid(IT156348-36.5, IT169926-49.6%), 그리고 linolenic acid(IT169316-0.2%, IT156367-0.6%)로 나타났다.
2. 지방함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검량선 작성시 종래의 화학적 방법에 의한 분석치와 NIRS 분석치 와의 상관계수는 oleic acid(r2-0.834) and linoleic acid(r2-0.925)로 판단되어 linoleic acid의 이용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어 초록
A methodological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potential of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for the estim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content in sesame seeds. A set of 3237 sesame lines, provided fro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ere scanned by NIRS for their fatty acids. Calibration equations for the content of fatty acids were developed for the 122 lines of them by GC-FID(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Main fatty acids were palmitic acid(C16:0, 8.5%), stearic acid(C18:0, 5.7%), oleic acid(C18:1, 39.3%), linoleic acid(C18:2, 43.4%), and linolenic acid(C18:3, 0.4%); the lowest and highest level were IT028899-7.2% and IT169359-10.0% in palmitic acid and IT028897-4.5%, IT028910-7.0% in stearic acid, IT170020-32.2% and IT156371-46.5% in oleic acid, IT156348-36.5 and IT169926-49.6% in linoleic acid, and IT169316-0.2% and IT156367-0.6% in linolenic acid, respectively. Determination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eeds could be carried out successfully by using the spectra patterns of NIRS for both oleic and linoleic acids. As a result,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compositions(% of total fatty acid) ranged from 25.8% to 49.2% and from 21.7% to 52.2%, respectively, in sesame seeds. Correlation(r2) between the percentage of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was calculated in (-0.23).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의 다른 논문
- 방화곤충에 의한 유전자변형 작물 화분 이동성 조사를 위한 프로토콜 개발5페이지
- Evaluation of NPTII Gene Transfer from Transgenic Chili..5페이지
- 국제미작연구소(IRRI) 종자은행의 유전자원 보존·관리 현황6페이지
- Status of Nematode Resistance studies in Korea, Vietnam..5페이지
- 뱀딸기(Duchesnea chrysanthe) 부위별 생리활성 비교4페이지
- LC-DAD-ESI/MS를 이용한 국내 자색벼 품종 종실의 안토시아닌 조성 및 함량 분석6페이지
- 아주까리(Ricinus communis L.) 유전자원의 종실특성과 지방함량 및 지방산조성 변이7페이지
- 질소감비조건에서 주요 벼 품종별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등숙특성7페이지
- 넓은잎큰조롱의 경엽절제가 생육 및 근수량에 미치는 영향5페이지
- 한국 농업에서의 유전자원 활용 현황과 금후 전망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