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R-DGGE를 이용한 유기농 채소의 유해 미생물 신속 검지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ㆍ수록지정보 : 산업식품공학 / 15권 / 4호
ㆍ저자명 : 권오연, 손석민
ㆍ저자명 : 권오연, 손석민
한국어 초록
현재 식중독 미생물의 검사에 전통적인 배지법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PCR이나 면역 분석법과 같은 신속 검출법들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대개 speciesspecific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에 의한 DNA 증폭산물을 전기영동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각종 균주에 대해 각기 다른 프라이머를 사용하여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균주를 동시에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도록 PCR-DGGE 기술을 연구하게 되었다. 그 결과 6종(S. typhimurium, P. fluorescens, B. cereus, S. aureus, E. coli, L. monocytogenes)의 유해 미생물을 선정하였고 DGGE 상에서 확실한 분리능을 보여 유해미생물의 인공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실제 PCR-DGGE 기법을 사용하기 위하여 채소에서의 유해미생물 검출 감도를 확인한 결과 B. cereus를 제외한 5종(S. typhimurium, P. fluorescens, S. aureus, E. coli, L. monocytogenes)의 균들은 모두 101 CFU/g까지 검출할 수 있었고 B. cereus는 103 CFU/g이상 채소에 존재할 때 검출할 수 있었다. 또한 균질화 방법에 따라서 식물 DNA와 유해 미생물 간의 경쟁적 증폭현상이 일어남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는 유해 미생물의 검지, 인공마커의 제조, 식물 DNA와 유해미생물간의 경쟁적 증폭 현상 방지책과 유해미생물의 검출 감도 확인 및 염기서열을 통한 동정을 통해 PCR-DGGE가 식품에서 유해 미생물의 신속 검지 방법으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국내 식품소비 패턴이 유기농 채소의 수요와 공급이 날로 증대 되고 있기 때문에 PCR-DGGE 기법이 유기농 채소들의 식중독 균에 대한 database를 구축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영어 초록
In this stud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combined with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was evaluated as a method permitting the rapid detection of pathogens in fresh originally grown vegetables. A universal primer (341GCf/534r) was selected for its ability to amplify the V3 region of 16S-rRNA genes in their target pathogens (Salmonella typhimurium, Pseudomonas fluorescen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The 194 bp fragments in PCR were successfully duplicated as expected. The amplified fragments of the same size from six different pathogens also showed good separation upon DGGE. The detection limit of PCR-DGGE for six pathogens in fresh-cut lettuces were over 105 CFU/g when sampled by stomaching. However, when the sampling method was changed from stomaching to shaking, the detection limit of six pathogens in organic vegetables was shown to increase by over 101 CFU/g, but only those of B. cereus were over 103 CFU/g. Therefore, PCR-DGGE was shown to be a reliable method for the detection of pathogens in fresh-cut vegetables.참고 자료
없음"산업식품공학"의 다른 논문
- 가열 산화 시 참기름 시료의 세사몰과 세사몰린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6페이지
- 쌀단백질 잔사발효물이 효모추출물의 맛특성에 미치는 영향7페이지
- 압출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및 밀가루 대체 쿠키 특성9페이지
- 유전체장벽방전 플라즈마 장치의 조작특성과 살균력6페이지
- 흑미 미강의 기능성 성분 추출 공정 최적화10페이지
- 가교화 후 하이드록시프로필화한 복합변성 쌀전분의 이화학적 특성6페이지
-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6페이지
- 황기분말을 첨가한 어묵의 품질특성8페이지
- 고함량 이소플라본 생산을 위한 대두의 전처리 및 청국장 발효조건 확립7페이지
-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을 이용한 감초 추출물 첨가 Yoghurt의 품질특성 및..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