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북 도시화지역 서양등골나물군락 분포특성
(주)코리아스칼라
- 최초 등록일
- 2016.04.02
- 최종 저작일
- 2004.12
- 8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4,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18권 / 4호
ㆍ저자명 : 이경재, 홍석환, 김종엽, 한봉호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서울 강북지역 중 중구, 용산구, 성동구, 서대문구, 마포구의 5개구. 총면적 90.15 km2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도시지역에서 번성하는 귀화종인 서양등골나물(Ageratina altissima)군락 분포현황 및 특성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내 서양등골나물군락의 총 분포면적은 1,860,805m2이었으며 남산을 포함하고 있는 용산구(23.7%)와 중구(13.7%)에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현존식생유형별 분포현황을 살펴보면 서양등골나물군락은 아까시나무림 하부에 주로 분포하였으나 남산만은 소나무림에서 분포면적이 넓은 것이 특징이었다. 단위면적 당 분포비율은 전체지역에서는 잣나무림이 가장 높았으나 남산을 제외하면 아까시나무림과 조경수식재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수관피복율에 따른 분포경향은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수관피복률이 높아질수록 분포비율이 높았고 특히 수관피복률 50% 이상인 지역에서 분포 비율이 높았다. 경사향과의 관계에서는 전반적으로 서향에서 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서양등골나물군락은 수관형성이 양호한 서사면 아까시나무림의 하부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단층구조 소나무림으로의 식생관리지역에서는 서양등골나물군락이 확산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후 서양등골나물군락의 생육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아까시나무림을 자생의 다층구조 낙엽활엽수군락으로 개선하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was achiev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state and the characteristic of Ageratina altissima community in five districts(90.15 km2), north of Seoul, Korea. Total distribution area of Ageratina altissima community was 1,860,805m2 and the distribution rate of Ageratina altissima community was 23.7% in Yongsan-gu, Seoul and it was 13.7% in Joong-gu, Seoul including the Namsan-mountain. As a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Ageratina altissima community and the actual vegetation, in case of the whole sites Ageratina altissima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in the Robinia pseudo-acacia forest and in case of Namsan-mountain area it was distributed mainly in the lower layer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especially. In case of the whole sites, the distribution ratio of Ageratina altissima community was highest in the Pinus koraiensis forest; on the other hand, it was highest in the Robinia pseudo-acacia forest with planted area excepting the Namsan-mountain. As a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Ageratina altissima community and Green Covered Ratio(GCR), the more the distribution ratio of Ageratina altissima community was heigher, the more GCR was higher in case of canopy and understory layer. Especially the distribution ratio of Ageratina altissima community was most high where GCR was over 50%. As a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Ageratina altissima community and aspect, Ageratina altissima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to the west, so we suppose that Ageratina altissima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in the lower layer of the Robinia pseudo-acacia forest which has fine canopy in the west. We should improve the Robinia pseudo-acacia forest to multi-layer natural forest to control the flourishing Ageratina altissima community in the long term.
참고 자료
없음
"한국환경생태학회지"의 다른 논문
더보기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