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군 국유림 지역의 음이온 농도와 임상, 숲 관련인자와의 상관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24권 / 5호
ㆍ저자명 : 엄태원, 김갑태
ㆍ저자명 : 엄태원, 김갑태
한국어 초록
본 숲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의 농도가 임상과 숲 관련인자에 따른 변이를 파악하고자, 강원도 고성군, 양양군에 위치한 국유림지역에서 52개의 방형구에서 산림조사와 음이온의 농도를 측정하고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측정된 음이온의 평균값 2,405개/cm3는 일반적인 숲에서 보고된 2,000개/cm3 보다는 조금 높은 값이었다. 음이온 농도와 지형에서는 5% 유의수준에서, 음이온 농도와 토양수분, 해발고에서는 1% 유의수준에서 각각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음이온 농도는 토양수분 수준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다습한 지역에서 평균 음이온 농도가 4,524.4개/cm3로 가장 높았다. 지형에서는 계곡부 조사지의 평균 음이온 농도가 3,372.4개/cm3로 가장 높았으며, 사면, 능선 순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측정시간대에서는 오전(12시 이전)에 측정된 평균 음이온 농도가 3,133.4개/cm3로 가장 높았으며, 낮(12:00~15:00), 저녁(15시 이후) 순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임상에서는 활엽수 혼효림에서 측정된 평균 음이온 농도가 3,503.9개/cm3로 가장 높았으며, 참나무림, 소나무림, 소나무-참나무 혼효림 순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치유의 숲 입지선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영어 초록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anion concentrations in relation to forest type, forest-related factors, forest survey and anion concentrations measurement were carried out on the 52 quadrats located at the national forest areas in Yangyang-gun, Kangwon-do. The relationship between anion concentrations and forest-related factors were correlated. Total mean of anion concentration was 2,405 ea/cm3,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general figures 2,000ea/cm3.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anion concentrations and soil moisture contents, and also between anion concentrations and altitud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anion concentrations and topography. Anio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oil moisture levels. Mean anion concentration were highest at 4,524.4ea/cm3 in on wet sites, and followed slightly wet sites and moderate sites. Mean anion concentrations was highest on valley sites at 3,372.4ea/cm3, followed by slope and ridge areas. Mean anion concentrations measured before noon was highest at 3,133.4ea/cm3, and measurements during 12:00~15:00 and after 15:00, showed relatively low anion concentrations. Mean anion concentrations was highest at mixed deciduous forests at 3,503.9ea/cm3, followed by oak forests, pine forests, and pine-oak forests.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in planning therapeutic forests.참고 자료
없음"한국환경생태학회지"의 다른 논문
- 지리산 웅석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9페이지
- 대전시 도시숲의 입지에 따른 식생 및 토양특성9페이지
- 경기도 도시가로수의 탄소저장량과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10페이지
- 낙동정맥 삼척시 용소골 계곡의 식생구조9페이지
- 솔로몬제도에 생육중인 몇 활엽수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6페이지
- 덕유산국립공원 남사면과 북사면의 식생 비교10페이지
- 비오톱지도 신뢰도 판단을 위한 식생유형 공간구획의 정확성 고찰7페이지
- 왕피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섭식기능군을 이용한 군집분석10페이지
- 천봉산과 그 일대의 식물상 연구20페이지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 정도리 방풍림의 바람골과 식물종다양성1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