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한국예이츠학회
· 수록지 정보 : The Yeats Journal of Korea / 17권
· 저자명 : Moon Soo Choi
초록
폴드만의 “Among School Children” 읽기는, 언어의 근본적 비유성, 즉 말해진 것과 다른 것(들)을 의미하는 속성에 근거한 그의 해체론 전개에 중요한 예이다. 이 시에 관한 그의 논의의 초점은 마지막 시행 “How can we know the dancer from the dance?”가, 전통적 해석들에서와는 달리, 수사의문문이 아니라 문법적 의문문으로 읽힐 수 있으며, 이 때 이 시행은 예술적 형식과 내용 사이 그리고 더 나아가 기호와 지시체(또는 의미) 사이의 숨겨진 차이성을 드러낸다는 데 있다. 드만에게 있어서 이 차이성은 언어의 자의성과 언어 기호의 비고착성에 직결되며, 이들은 다시 의미의 불확정성을 넘어 읽기의 불가능성으로까지 이어진다. 의미의 불확정성은, 다시 말하면, 주어진 표현에 적용될 문맥을 결정할 수 없다는 말이 된다. 그러나 퍼스에 따르면, 의미작용(signification)이 무한한 기호과정에 속해있긴 하지만, 해석의 공동체(community)라는 의미작용 외부의 원리에 의해 의미작용에 제한을 가할 수 있다. 에코는 이 원리로부터 비록 어떤 해석을 배타적으로 또는 우선적으로 옳은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적어도 그 해석이 부적절하다는(illegitimate) 것은 문맥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낸다. 이때 문맥이란, 한 텍스트내의 특정한 표현이 문제가 될 때, 그 표현을 들러 싼 텍스트 자체, 더 정확히 말해서, 그 텍스트의 요소들 사이에서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일종의 일관성이라 할 수 있으며 이 텍스트의 일관성은 해석의 최소 조건이 된다. 드만의 “Among School Children” 읽기는 이 조건에 비추어 부적절함이 드러난다. 결국, 해석의 최소 조건에 의해 의미의 불확정성은 읽기의 불가능성이 아니라 텍스트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읽기 가능성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참고자료
· 없음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