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도와 한일 해양경계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0.02
26P 미리보기
독도와 한일 해양경계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사부학회
    · 수록지 정보 : 이사부와 동해 / 1권
    · 저자명 : 유하영

    목차

    [국문초록]
    I. 머리글
    II. 독도영유권과 해양경계획정
    III. 국제법상 독도의 법적 지위
    IV. 독도의 해양수역과 경계선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독도현안의 본질 및 성격과 관련하여 크게 독도의 영유권과 섬으로서의 해양경계 획정의 문제가 있다. 현재까지 한국 정부는 기본적으로 “독도는 역사적으로 국제법적으로 한국의 고유한 영토로서 영유권 분쟁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정치적 타협이나 사법적 해결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대한민국의 “고유한 영토”로서 독도는 고래로 또 신라지증왕 13년(512년)이래 계속하여 “국가관할권”(state jurisdiction)이 행사되었다. 조선조 울릉도 수토(쇄환)정책은 “국가의 정책”이므로 이 또한 실효적인 지배이다. 이는 독도에 대한 영유권의 “포기”가 아닌 주민에 대한 국가관할권을 행사한 것이다. 따라서 국가 영토에 대한 “실효지배”는 국가관할권의 행사로써 입증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독도현안은 단순한 “영토문제”가 아닌 "역사의 문제"라고 정의할 수 있다. 독도에 대한 역사적 인식에 상반하여 일본은 일본사회의 우경화 경향에 편승하여 시마네현 죽도의 날 제정, 교과서 내용 중 한국 및 독도관련 사실의 왜곡, 해양 탐사선의 한국 측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의 수로측량 등 독도를 “분쟁지역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도발을 시도하고 있다. 국제사법재판소(ICJ)는 최근 일련의 사건에서 도서영유권의 귀속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실효 지배(effectivit‘e)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다. 특히 외국학자들 중에도 한국의 독도에 대한 영유권 인정 여부에 앞서 현재 한국의 독도에 대한 실효 지배에서의 절대적 상대적 우위에는 이론이 없다. 독도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이용”은 국제법과 국내법에 모두 부합하여야 하며, 1994년 유엔 해양법의 발효 이후 세계 모든 국가의 해양 및 섬의 이용에 관한 다양한 사례들이 있음을 고찰했다. 독도의 개발과 이용 관련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가 국제사법재판소라는 제3자를 통한 평화적 해결에도 불구하고 궁극적인 분쟁의 평화적 해결은 이루질 못하였음은 독도현안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어초록

    In relation with the essence and character of Dokdo issue pending between Korea and Japan, there are a dominion issue and an issue of maritime delimitation to an island. Korea Government has maintained an opinion on Dokdo issue firmly until now as follows : Dokdo is the inherent territory of korea from the standpoint of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 is no territorial disputes over Dokdo between Korea and Japan. Dokdo is not the subject of any political comprise and judicial solution as well. At least, Dokdo as an inherent island territory of Korea has been exercised state jurisdiction by Korea since the year 512 A.D which the king Chijung had governed the kingdom of Silla. The kingdom of Chosun had exercised territorial jurisdiction effectively because Non-residence policy on Ulleung and Dokdo is also a state policy. For this kind policy was not the denunciation of dominion on the Dokdo but exercised state jurisdiction on the people who had lived in the territory. In the line of this connection, Dokdo issue at this time can be defined that it is not simply dominion issue but the issue of historial cognizance recognized between Korean and Japanese. Because of being contrary to historial cognizance on Dokdo issue, Japan has been trying to incite korean people with diversity with taking advantage of turning to the right side of Japan society as following methods: appointing the day of Dokdo(Takeshima) by local government, Shimane Prefectural, distorting the true fact on Korea history and Dokdo in the textbook of middle and high school, hydrographical survey with marine research ship in the Korea zone of EEZ. And then Japan wants to recognize that the Dokdo issue is under dispute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international community. ICJ has set effective control on the important basis in dealing with the question of territory title to the islands in the chain of recent cases. In particular, there are not any different opinions for korea to have absolute or relative priority among scholars from foreign countries prior to recognize whether Korea has dominion to the Dokd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se of Dokdo should be in accord with international law and domestic law. there has been various examples on the use of sea and islands by all states over the world since United Nations Conventions on the Law of the Sea entered into forces in 16 November 1994. In connection with the Case of Malaysia v. Indonesia, there are some meaning given because of not to solve the dispute eventually even though peaceful methods by the ICJ had tried to solve the dispute. Korea government is requested this meaning to think about the Dokdo issue pending between Korea and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