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서남부 하천 하구역의 수질 및 부착돌말 군집 특성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하천호수학회
ㆍ수록지정보 : 생태와 환경 / 46권 / 4호
ㆍ저자명 : 김하경, 이민혁, 김용재, 원두희, 황순진, 황수옥, 김상훈, 김백호
ㆍ저자명 : 김하경, 이민혁, 김용재, 원두희, 황순진, 황수옥, 김상훈, 김백호
한국어 초록
한반도 서남부 하천을 대상으로 2013년 5월(몬순의 영향이 없었던 시기)에 환경요인 및 부착돌말 군집을 각각 조사하였다. 조사는 상류에 1개 이상의 댐이나 인공 보가 형성된 조절하천(19개 지점)과 설치되어 있지 않은 비조절하천(19개 지점)으로 나누어 수질 및 부착돌 말 군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부착돌말 출현특 성에 따라 한반도 서남부 하천은 비조절하천(G1), 혼합 형하천(G2), 조절하천(G3) 등 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G1은 수질이 양호하고 다양한 부착돌말류가 출현한 반면, G3은 비록 수질은 불량하였으나 부착돌말 현존량 이 크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G2의 경우 조절하천에 비해 수질은 양호하였지만 부착돌말의 종수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출현한 부착돌말 우 점종은 생태범위가 비교적 넓은 담수와 기수 보편종들로 서 G1에서 Nitzschia palea (17%), Navicula seminuloides (11%), G2에서 Nitzschia inconspicua (19%), Navicula perminuta (9%), G3에서 Nitzschia inconspicua (15%), Nitzschia palea (14%)으로 수질환경에 큰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종수의 감소를 가져왔다. 그러나 G2와 G3 과 같은 조절하천에서 비록 부착돌말 현존량은 높지 않았으나 부영양 상태(높은 영양염 및 엽록소량 등)를 나타내 하구역의 정확한 수환경 상태파악을 위하여 국내 연안에서 종종 조류발생을 일으킬 수 있는 부유성 돌말 류에 대한 조사도 반드시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영어 초록
Environmental factors and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the lower streams near the harbor regionof South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during no monsoon period in May 2013. The sampling of water andepilithic diatoms was conducted at both streams, 19 regulated streams(RS) that there are one or several damsconstructedin the river system, and 19 un-regulated streams(US) that there are no dams within the river. A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of epilithic diatoms through the stations, dividedinto three groupssuch as groups I(mainly US), II(mixed with US and RS) and III(mainly RS), respectively.Group I showed that water quality is good and high diversity of diatom, while Group II and III was waterquality is relatively poor, but not differed in biomass of diatom from Group I. In addition, Group II that had highconductivity, nitrogen and phosphorus, was the lowest in diatom diversity among them. Dominant specieswere Nitzschia palea(17%) and Navicula seminuloides(11%) in Group I, Nitzschia inconspicua(19%) andNavicula perminuta(9%) in Group II, and Nitzschia inconspicua(15%) and Nitzschia palea(14%) in GroupIII, respectively. These taxa were widely distributed in brackish water, and not closely related with specificwater quality, like eutrophic water. However, the groups II and III belonged to RS, had not only little biomass,but bad water quality such as high concentrations of nutrient and chlorophyll-a. Therefore, to determine theeffect of dam construction on the lower water ecosystem, the planktonic algae, which can occur algal bloom inthe estuary, also was considered to be a parallel investigation.참고 자료
없음"생태와 환경"의 다른 논문
- CO2와 수온 증가에 대한 봄철 저수온기 팔당호 식물플랑크톤군집 변화8페이지
-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의 식물군락 분포에 관한 연구11페이지
- 국내 주요 강 생태계 내 동물플랑크톤의 탄소, 질소, 인 비율 해석7페이지
- 정준상관분석을 통한 내장산국립공원 산림식생구조의 입지환경 평가9페이지
- 국내 중대형 인공호에서 외래종인 배스(Micropterus salmoides)의 분포 특성 및 서식..10페이지
- 금강 하구 기수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17페이지
- 해남 사구미 연안 거머리말(Zostera marina L.)의 계절특성11페이지
- Aquatic Oligochaete (Annelida: Clitellata) Fauna from t..6페이지
- 시화호 상류 기수역에서 입자성유기물에 대한 조류영향8페이지
- 의암호 수체 흐름과 혼합 패턴에 관한 모델 연구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