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백산 국립공원내 조류 군집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6권 / 2호
ㆍ저자명 : 이우신, 이준우, 박찬열
ㆍ저자명 : 이우신, 이준우, 박찬열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소백산 국립 공원을 대상으로 계절별 조류 군집을 밝히고, 이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를 위하여 주등산로 3개소를 조사지로 선정하여, 1992년 2월부터 10월까지 4회에 걸쳐 야생조류 및 이의 서식에 미치는 인자를 조사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에서 조사기간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텃새 31종, 여름철새 17종, 겨울철새 6종 그리고 나그네새 4종으로 총 9목 12과 58종이며 이중천연기념물 323호인 새매, 황조롱이와 324호인 소쩍새 그리고 242호인 까막딱다구리가 관찰되었고 위기 조류인 큰오색딱다구리와 되지빠귀가 발견되었다. (서식종수는 봄철 38종, 여름철 33종, 가을철 26종 그리고 겨울철 22종이었다). 번식 조류 군집 중 수동 및 관목층을 둥지로 이용하는 길드와 수관층에서 먹이자원을 이용하는 길드가 대부분이었다. 제 1조사구역의 해발 900m이후의 자연식생과 제 2조사구역의 철쭉군락을 포함한 초원지역은 야생조류의 보호를 위해 관리가 필요하다. 제 3조사구역은 다양한 종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이 과수원, 농경지, 개활지 등의 다양한 서식지를 포함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지역은 밀도 또한 높게 나타나서 국립공원에서 조류를 관찰할 수 있는 적당한 장소라고 생각된다. 가을과 겨울철에는 풍부한 먹이 공급을 위해 먹이식물 및 활엽수림 조성 관리가, 봄철과 여름철에는 성공적인 번식을 위해 이용객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영어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bird community and to suggest a proper way how to manage and protect bird community in Sobaeksan National Park. The survey was carried over 3 main trail districts by line transect method to figure out influence factor of inhabitation of wild birds from February to October in 1992. The study results as follows: The observed birds were belong to 9 orders l2 families 58 species, they also have Sparrow Hawk dccipiter nisus, Kestrel Faleo tinnunculus(natural monument no. 323). Scops Owl I'otus scops(natural monument no. :324), Black Woodpecker Dryoaepus martius(natural monument no. 242. R). White-backed Woodpecker Dendroaepos leuotes(R) and Gray-backed Thrush Turdus hortulorum(R). These birds a]so classified into 31 species for residents. 17 species for summer visitor, 6 species for winter visitor. 4 species for passage migrant, respectively. Species richness was 38 species at spry, 33 species at summer. 26 species at autumn and 22 species at winter. The density was 3.00 ea /ha at spring, 2.37 ea /ha at summer, 3.62 ea /ha at autumn and 2.88 ea /ha at winter. Breeding bird community in Sobaeksan National Park was dominated by Hole, Bush-nesting guild and Canopy-foraging guild. Natural vegetation of 900m altitude in 1st section and the grassy plain in 2nd section are to be protected absolutely for the habituation of wild birds. Species richness in 3rd section was higher than any other section owe to a various habitat such as valley. open lands, orchid, farm land and forest etc. Food plants and broad-leaved forest is to be managed for the provision of opulent food resources in autumn and winter, user is to be managed for the successful propagation of wild birds in spring and autumn.참고 자료
없음"한국환경생태학회지"의 다른 논문
- 소백산국립공원 등산로의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12페이지
- 삼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I) -소백산지역 활엽수혼효림군집 교목층의 적정 ..6페이지
- 소백산 비로봉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주목림-8페이지
- 소백산지역 달밭재-비로봉 능선부의 삼림군집구조7페이지
- 소백산국립공원 천동계곡의 식물군집구조분석13페이지
- 소백산 도솔봉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7페이지
- 소백산 국립공원 희방계곡의 삼림군집구조분석14페이지
- 소백산 국립공원의 이용객 행태분석11페이지
- 소백산 국립공원 경관의 계량적 분석17페이지
- 소백산국립공원 일대의 담수어류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