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방풍 (Saposhnikovia divaricata (Turcz) Schischkin) 한약재와 근연식물의 분류 및 종 판별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25권 / 4호
ㆍ저자명 : 임종민, 김명수, 변지희, 박효섭, 안영섭, 박춘근, 조준형
ㆍ저자명 : 임종민, 김명수, 변지희, 박효섭, 안영섭, 박춘근, 조준형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유통 방풍(S. divaricata, P. japonicum, G. littoralis) 한약재의 원산지 판별을 위해 수행 되었다. 이를 위 해, 형태적 특징비교 뿐만 아니라 엽록체(nrDNA-ITS2) 및 핵 DNA 바코드 유전자(cpDNA-matK, psbA-trnH, rpoB2와 rpoC1)를 이용한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방풍류 3종의 형태적 특징을 비교한 결과, 잎 모양과 거치의 형태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반면, 건조약재의 경우 육안으로 구별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DNA 수준에서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DNA 바코드 후보 유전자들을 이용한 방풍류 3종의 식물자원 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후 판별 마커 개발 가능성이 있는 ITS2와 matK, psbA-trnH 세 primer를 선발하였다. 이 를 국내 유통 한약재에 적용한 경우 방풍은 S. divaricata와, 식방풍은 P. japonicum과, 해방풍은 G. littoralis와 동일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중국산 방풍은 S. divaricata와 동일종으로 바르게 표기되어 유통되나, 국산 방풍은 P. japonicum과 동일 종으로 식방풍(갯기름나물)의 뿌리를 건조시켜 방풍으로 혼용 유통됨을 확인하였다. ITS2 구간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식방 풍의 경우 두 그룹으로 나눠져 동일 종 내에 유전적 변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방풍류 3종 판별을 위 해 nrDNA-ITS2와 cpDNA-matK, psbA-trnH의 사용이 유용 할 것이며, 차후 방풍류 한약재의 판별을 위한 마커 개발 연 구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영어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origines of Bang-Poong (S. divaricata, P. japonicum, and G. littoralis) plants traded as oriental medicines in herb market. Along with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equence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DNA barcodes, nrDNA(ITS2) and cpDNA(matK, psbA-trnH, rpoB2 and rpoC1). In morphology study of Bang-Poong plants, leaf and serrate shap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pecie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with dried root materials. With three Bang-Poong plant resources, DNA seque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tic diversities in DNA levels and then three primers of candidate genes (ITS2, matK, and psbA-trnH) were selected to use as molecular markers. Applying these primers to domestic distributed medicinal herbs, Bang-Poong (Sapochnikoviae Radix), Sik-Bang-Poong (Peucedani japonici Radix) and Hae-Bang-Poong (Glehniae Radix) were identical with S. divaricata, P. japonicum and G. littoralis, respectively. Chinese Bang-Poong were distributed as the identical species with S. divaricata, however, Korean products were traded with dried root of P. japonicum. Furthermore, intra-species genetic variation was identified in P. japonicum since this plant divided into two groups by sequence analysis of nrDNA-ITS2 region. Thus, nrDNA-ITS2, cpDNA-matK, and psbA-trnH would be useful to identify the origins of Bang-Poong medicinal herbs. This results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researches of molecular marker development to discriminate Bang-Poong and related plant species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의 다른 논문
- 팽이버섯 폐배지를 이용한 원예용 상토의 개발6페이지
- 농업유기환원물 종류별 부숙기간에 따른 성분변화와 식물의 발아 및 농업유기환원물 종류별 부숙기간에 따..6페이지
- 질소수준에 따른 에틸알콜 처리가 복숭아 유목의 꽃눈 동해에 미치는 영향5페이지
- 복숭아 수분용 품종의 드릴 접목에 따른 생육특성 비교5페이지
- 비닐절개에 의한 엽초유인이 한지형마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4페이지
- 도라지 종자의 파종전 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5페이지
- 과립재료와 저장조건이 참깨(Sesamum indicum L.) 종자 활력과 수분함량에 미치는 영향6페이지
- 신간척지에서 질소시비량과 파종량이 청보리의 생육특성 및 신간척지에서 질소시비량과 파종량이 청보리의 ..5페이지
- 태풍 “볼라벤”에 의한 벼 생육시기별 변색립 발생정도와 수량 변이6페이지
- SSR마커를 이용한 재배국화의 품종 판별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