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상류 유량측정지점의 유수단면적과 유량변화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하천호수학회
ㆍ수록지정보 : 생태와 환경 / 46권 / 1호
ㆍ저자명 : 송광덕, 김갑순, 이동진, 함상인, 김대영, 오태윤, 이재춘, 임병진
ㆍ저자명 : 송광덕, 김갑순, 이동진, 함상인, 김대영, 오태윤, 이재춘, 임병진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단면변화를 고려한 수위-단면적 변화 및 평 균 유속-단면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유량 산정 및 하천관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수위에 따른 단면적 변화 는 SB-A 지점은 1.0 m, 1.9 m, SB-C 지점은 0.6 m, 1.8 m, CL-A 지점은 1.0 m, 1.8 m, OS-A 지점은 0.6 m, 2.0m에서 발생되었다. 이 중 첫 번째 변화는 평∙저수기에 해당되 고, 두 번째 변화는 홍수기 및 하천 좌∙우 안에 인위적 ∙자연적으로 형성된 둔치 등으로 판단된다. 수위-단면적 변화에 따른 관계식의 기울기는 지수형 0.5539~1.9013, 선형 9.040~52.544의 범위를 가진다. 기울기는 두 곡선 모두 고수위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평균유 속-단면적 변화의 관계는 지수와 직선의 방정식으로 지 수형 기울기와 상관계수는 각각 0.1182~0.8734, 0.22~ 0.86이며, 선형의 기울기와 상관계수는 0.0028~0.1032, 0.20~0.87로 분석되었다. SB-A, SB-C 지점의 저수위는 다른 수위보다 상관관계가 높게 산정되었는데, 이는 수위 구간이 좁고, 하천 단면적의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CL-A, OS-A 지점은 월류보의 영향으로 저수위 일 경우에 상관관계가 낮았다. 수위-단면적, 평균유속-단 면적의 상관관계 및 곡선식 등을 이용하여 하천 정비계 획 등의 수립에 활용할 수 있으며, 제외지의 단면적이 변 하는 지점의 유량 변화 등의 예측에 활용할 수 있을 것 이다.영어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variation of the water level and crosssection area for investigating changes of stream foreland,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verage flow velocity and cross-section area so as to understand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The slope of the cross-sectional area was changed in water levels of 0.6~1.0 m and 1.8~2.0 m. The first change occurred in the low-water level season, and the second change occurred in the high-water level seasons. It is assumed that the changes occurred due to the geological transfigu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oss-sectional area and the average flow velocity was 0.22~0.86 in the exponential equation and 0.20~0.87 in the linear equation. The low water level had a higher correlation than the high water level, and free weirs in the upper stream showed a very low correl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novel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in the riverside, using correlation equations of the water level and flow velocity with the cross section area.참고 자료
없음"생태와 환경"의 다른 논문
- 북한강 수계에서 이취미를 유발하는 남조류(Anabaena spiroides)의 증식 특성10페이지
- 도암호에서 하절기 수질의 장기적인 경향7페이지
- 부유습지를 이용한 부영양수계 현장 수질개선 효과12페이지
- 영산강 수계의 본류 및 지천에서 4대강 사업 전∙후의 어류분포 및 군집구조 특성 비교13페이지
- 수생식물이 발달된 습지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 분포: 수생식물의 밀도 및 종류가 부착성 윤충류와 지각..8페이지
- 환경 조건 차이에 의한 경안천 토양의 유기물 분해속도와 온실가스 발생 변화11페이지
- 독도 곤충상 조사에 따른 최근 종 조성도 변화 보고7페이지
- 외래종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가 토착종 왕귀뚜라미 (Teleogryllu..8페이지
- 덕유산 국립공원 산림식생구조의 지형적 영향 분석7페이지
- 전남 섬갯벌의 생태적 가치와 도립공원 지정의 타당성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