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에서 FSH제의 Single Injection에 따른 과배란유기 효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ㆍ수록지정보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11권 / 3호
ㆍ저자명 : 최상용, 노규진, 최창용, 강태영, 윤희준, 손우진, 이효종, 박충생
ㆍ저자명 : 최상용, 노규진, 최창용, 강태영, 윤희준, 손우진, 이효종, 박충생
영어 초록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single dose of FSH as an effective superovulation method in rabbits. The superovulation treatments examined comparatively were as follows: 1) a single injection of 100 IU PMSG, 2) Multiple injections of 1 IU Super-OV of 2X daily for 3 days, 3) Multiple injections of 6.6 rng Folltropin-V 2X daily for 3 days, 4) Multiple injections of 13.3 rng Folltropn-V l daily for 3 days, 5) Single injection of 40 mg Folltropin-V solved in 10% PVP, and 6) Single injection of 40 mg Folltropin-V dissolved in 25% PVP.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nurnher of ovulation points in the single injection of 40 mg Folltropin-V dissolved in 25% PVP and multiple injections of 6.6 mg Folltropin-V 2X daily for 3 days was averaged 44.6 and 39.2,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P<0.05) more than in a single dose of PMSG or multiple doses of Super-OV. The number of total ova recovered in the single injection of 40 mg Folltropin-V dissolved in 25% PVP and multiple injections of 6.6 mg Folltropin-V 2X daily for 3 days was averaged 30.4 and 25.9,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P<0.05) more than in the single dose of PMSG or multiple doses of Super-OV. A similar result was obtained for the number of fertilized ova recovered from the above six treatments.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a single injection of 40 mg Folltropin-V dissolved in 25% PVP could be an effective and simple method for superovulation in rabbits.참고 자료
없음"Journal of Embryo Transfer"의 다른 논문
- 소와 돼지의 난관 상피세포와의 공배양이 마우스 초기배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10페이지
- 자궁내막세포막의 공배양이 돼지 체외수정란의 초기발달에 미치는 영향7페이지
- 정자의 전처리시간, 농도 및 공동배양시간이 돼지난포란의 체외수정에 미치는 영향7페이지
-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유리화 동결융해후 FDA 처리가 체외수정과 배 발육에 미치는 영향 II. 난구..8페이지
- 체외성숙시간 및 배양방법에 따른 한우 체외수정란의 생산효율8페이지
- 한우 난포란의 채란방법에 따른 체외수정란의 생산효율10페이지
- 씨오투 농도가 체외성숙 유래 한우 난자의 전기적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11페이지
- 육우의 과배란 유기와 동결방법이 난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11페이지
- PCR 기법에 의한 소 수정란의 웅성 특이적 DNA Band 출현과 성 판별에 관한 연구7페이지
- 초음파를 이용한 한우의 조기임신진단에 관한 연구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