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p 및 YIp 벡터에 의(依)한 Saccharomyces cerevisiae의 Cotransformation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ㆍ수록지정보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4권
ㆍ저자명 : 이승범, 이인구
ㆍ저자명 : 이승범, 이인구
한국어 초록
대장균(大腸菌)과 효모(酵母)의 셔틀 벡터인 YIp, YRp, YEp를 S. cerevisiae MC 16, DBY747에 형질전환(形質轉換)시켰다. 이들 벡터들을 대장균(大腸菌)에 형질전환(形質轉換)시켰을 때 그 빈도(頻度)가 YIp5, YIp26, YEp13, YRp7에서 각각 , , , 으로 나타났다. YEp13을 MC16과 DBY747에 Ito 법(法)으로 형질전환(形質轉換)시켰을 때 MC16, DBY747에서의 빈도(頻度) 각각 , 으로 나타났다. DBY747을 수용세포(受容細胞)로 하여 YRp7과 YIp26을 환상(環狀)으로 각각 형질전환(形質轉換)시켰을 때 그 빈도(頻度)는 각각 , 이하로 나타났다. DBY747을 수용세포(受容細胞)로 하여 YEp13과 YIp26을 선상(線狀)으로 절단하여 처리(處理)한 S. cerevisiae에 cotransformation을 하였을 때 YIp26+YEp13 (, )의 cotransformant는 빈도(頻度)가 나왔으며 YIp26과 YEp13에 대한 각각의 빈도(頻度)는 이하, 빈도(頻度)로 나타났다. 또 YIp5와 YEp13, YIp26과 YRp7을 원형질체화(原形質體化)한 S. cerevisiae DBY747에 cotransformation 하였을 때 빈도(頻度)는 YIp5+YEp13은 으로 나오고 YIp26+YRp7에서 으로 나타났다.영어 초록
The transform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with YIp26, YRp7 and YEp13 was investigated. Transformation frequences of YIp5, YIp26, YRp7 and YEp13 in Escherichia coli HB101 was , , , , respectively. When plasmids were used in covalently closed circular form, transformation frequency of YEp13 was in S. cerevisiae DBY747 and in S. cerevisiae MC16 and that of YRp7, YIp26 was , below respectively in S. cerevisiae DBY747 by the method of Ito. Cotransformation of YIp26 and YEp13 in linear form increased the frequency of transformation with efficiences 270-fold higher than transformation of YIp26 only in S. cerevisiae DBY747. In cotransformation of YIp5+YEp13 and YIp26+YRp7 with S. cerevisiae DBY747 by Beggs' method. Expression frequency of YIp5+YEp13 and YIp26+YRp7 was , , respectively. The recombinant plasmid of cotransformant was thought that YIp26 and YEp13, YIp5 and YEp13, and YIp26 and YRp 7 were ligated in vivo in S. cerevisiae DBY747.참고 자료
없음"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의 다른 논문
규산(珪酸)이 수도(水稻) 유묘(幼苗)의 일액(溢液)에 미치는 영향(影響)6페이지
고추의 탄저병(炭疽病) 저항성(抵抗性)에 관(關)한 연구(硏究)5페이지
고추 일과중(一果重)의 구성요소(構成要素)에 대(對)한 유전(遺傳)6페이지
Liatris Spicata 구경휴면(球莖休眠)에 관(關)한 연구(硏究) -I. 휴면도입기(休眠導入..4페이지
과수원(果樹園)의 잡초발생(雜草發生) 동태(動態)와 Oxyfluorfen의 처리시기별(処理時期別) ..5페이지
대두조직배양세포(大豆組織培養細胞) - Rhizobium에 의(依)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9페이지
Tomato 성숙중(成熟中) Pectin 효소(酵素)의 활성변화(活性變化)와 Polygalactur..8페이지
녹차(綠茶)의 흡습특성(吸濕特性)5페이지
배과실(果實)의 Polyphenol Oxidase의 분리(分離) 정제(精製) 및 그 특성(特性)10페이지
전리(電離)에너지가 혼합(混合) 조미료(調味料)의 살균(殺菌)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