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수록지 정보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4권
· 저자명 : 이승범, 이인구
초록
대장균(大腸菌)과 효모(酵母)의 셔틀 벡터인 YIp, YRp, YEp를 S. cerevisiae MC 16, DBY747에 형질전환(形質轉換)시켰다. 이들 벡터들을 대장균(大腸菌)에 형질전환(形質轉換)시켰을 때 그 빈도(頻度)가 YIp5, YIp26, YEp13, YRp7에서 각각 , , , 으로 나타났다. YEp13을 MC16과 DBY747에 Ito 법(法)으로 형질전환(形質轉換)시켰을 때 MC16, DBY747에서의 빈도(頻度) 각각 , 으로 나타났다. DBY747을 수용세포(受容細胞)로 하여 YRp7과 YIp26을 환상(環狀)으로 각각 형질전환(形質轉換)시켰을 때 그 빈도(頻度)는 각각 , 이하로 나타났다. DBY747을 수용세포(受容細胞)로 하여 YEp13과 YIp26을 선상(線狀)으로 절단하여 처리(處理)한 S. cerevisiae에 cotransformation을 하였을 때 YIp26+YEp13 (, )의 cotransformant는 빈도(頻度)가 나왔으며 YIp26과 YEp13에 대한 각각의 빈도(頻度)는 이하, 빈도(頻度)로 나타났다. 또 YIp5와 YEp13, YIp26과 YRp7을 원형질체화(原形質體化)한 S. cerevisiae DBY747에 cotransformation 하였을 때 빈도(頻度)는 YIp5+YEp13은 으로 나오고 YIp26+YRp7에서 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transform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with YIp26, YRp7 and YEp13 was investigated. Transformation frequences of YIp5, YIp26, YRp7 and YEp13 in Escherichia coli HB101 was , , , , respectively. When plasmids were used in covalently closed circular form, transformation frequency of YEp13 was in S. cerevisiae DBY747 and in S. cerevisiae MC16 and that of YRp7, YIp26 was , below respectively in S. cerevisiae DBY747 by the method of Ito. Cotransformation of YIp26 and YEp13 in linear form increased the frequency of transformation with efficiences 270-fold higher than transformation of YIp26 only in S. cerevisiae DBY747. In cotransformation of YIp5+YEp13 and YIp26+YRp7 with S. cerevisiae DBY747 by Beggs' method. Expression frequency of YIp5+YEp13 and YIp26+YRp7 was , , respectively. The recombinant plasmid of cotransformant was thought that YIp26 and YEp13, YIp5 and YEp13, and YIp26 and YRp 7 were ligated in vivo in S. cerevisiae DBY747.
참고자료
· 없음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